문학 (1090)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능특강, 배비장전 해설 해석 고전 소설인 '배비장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배비장전, 양반의 위선을 폭로하는 판소리계 고전 소설이번 시간에 분석할 문학 작품은 올해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고전 소설인 '배비장전'입니다.첨부할 자료에는 2018년 3월 고1 모의고사 수록 부분과 2022년 EBS 수능특강 수록 부분을 합쳐서 구성하였습니다.배비장전은 판소리계 소설로 원래는 판소리로 만들어졌다가 소설로 각색한 작품입니다.따라서 곳곳에 판소리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따라서 '~거동 보소'와 같은 판소리 창자의 말투가 잘 드러나며, 판소리의 특징인 운율, 즉 리듬감이 있는 문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여러분은 판소리 하면 어떤 것이 생각나시나요?바로 풍자와 해학이지요.배비장전도 그렇습니다. 풍자와 해학이 두드러집니다.조선 시.. 수능특강, 매화전 해설 해석 이번 시간에는 2022년 EBS 수능특강과 2019년 6월 고1 모의고사에 출제된 고전 소설인 '매화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수능특강 매화전 해설 그럼 본격적으로 '매화전(梅花傳)'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의 내용을 간략하게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매화'와 '양유'입니다. 조정의 간신들이 매화의 아버지인 김 주부를 해치려고 해서 피하면서 김 주부는 어쩔 수 없이 딸 매화를 남장을 해서 길에 버리게 됩니다. 이 부분에서 '남장 모티프'와 '기아 모티프'가 드러나지요. '매화전'의 특징 중 하나가 다른 작품들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설화적 모티프를 결합하여 글을 전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내용으로 돌아가서, 매화는 조 병사 집 시비에게 발견되어 그 집 아들인 양유와 함께 .. 수능특강, 채봉감별곡 해석 해설 이번 시간에는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고전 소설인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래 첨부하는 '채봉감별곡' 해설 자료는 기존에 모의고사에 나왔던 부분과 이번에 수능특강에 수록된 부분을 합쳐서 만들었습니다. 수능특강 수록 부분은 표시를 했고요. 그럼 본격적으로 채봉감별곡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제목인 채봉은 여주인공 이름입니다. '감별(別曲)'은 이별을 느끼다 정도 되겠네요. 이 작품을 크게 보면 남녀 간의 진정한 사랑과 이별 그리고 다시 만나서 행복하게 잘 산다는 내용입니다. 간략하게 내용을 설명드리면, 채봉은 단풍 구경에서 장필성을 만나 서로 좋아하게 되고 혼인을 약속합니다. 당시가 아니라 지금 봐도 파격적이죠. 첫눈에 반해서 결혼을 결정하다니요. 어느 정도는 자유연애 .. 수능특강 김수로왕 신화 가락국 신화 해석 해설 가야(가락국)의 건국 설화이자, 가야를 건국한 시초인 김수로왕 신화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 김수로왕 가락국 신화 해석 해설 그럼 본격적으로 '김수로왕 신화'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김수로왕 신화는 수능특강이나 수능완성 에서 거의 매년 보는 것 같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수록되었고요. 그런데 이름은 조금씩 바뀌어서 나오지요. '김수로왕 신화', '가락국 신화', '구지가' 등으로 말이지요. 우선 김수로왕은 다들 아시지요? 가야를 건국한 왕이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를 자랑하는 김해김씨의 시조이지요. 예전에는 가야를 가락국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가야의 건국 신화를 가락국 신화라고 하고, 김수로왕 신화라고도 하는 것이지요. 앞에 언급한 '구지가'는 무엇이냐면 가야의 백성들이 하늘에.. 수능특강, 님이 오마 하거늘 임이 오마 하거늘 해설 해석 사설시조 '님이 오마 하거늘'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책에 따라서는 '임이 오마 하거늘'이라고도 하지요. 2023년 EBS 수능완성에 수록이 되었으며, 2021년 EBS 수능특강에도 수록되었지요. 이 작품은 사실 수능보다는 내신 시험에 더욱 중요한 작품입니다. 시조의 갈래를 설명하는 파트에서 사설시조의 대표 작품으로 출제가 많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하지만 임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는 사설시조의 대표 격인 작품으로 꼭 알아두셔야 하는 작품입니다. 기본을 알아야 응용을 할 수 있겠지요.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 모의고사 옥단춘전 해설 해석 분석 2023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옥단춘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글은 원래 모의고사를 바탕으로 옥단춘전을 해설한 글이었으나, 이번 수능특강에 수록이 되어 수능특강에 수록된 부분에 맞게 내용을 추가하여 작성을 했습니다. '옥단춘전'은 아주 유명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수능에 출제된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수능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 깊게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평가원 모의고사에는 2016학년도 9월 모평에 출제되었습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의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 모의고사, 윤휴_육우당기 해석 해설 윤휴의 고전 수필이자 한문 수필인 '육우당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덕성이 있는 자연물인 육우를 본받자는 의미와 함께 자연물보다 못한 인간사를 비판하고 있는 작품이지요. 그럼 '육우당기'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죠.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4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기간에 따라 두 가지 멤버십으로 진행함. * 기간에 따라 두 가지의 멤버쉽을 나누어 진행하는 것이 공정한 방법일 것이라고 생각됨... cafe.naver.com 모의고사, 윤휴_육우당기 해석 해설. 이번 시간에는 202.. 모의고사, 오세영_열매 해설 해석 분석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모의고사, 오세영_열매 해설 해석 분석 2022년 6월 고2 모의고사에 출제된 오세영의 '열매'를 설명할까 합니다. 이 작품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세상의 열매는 왜 모두 둥글어야 하는가' '뿌리는 날카롭지만, 가지는 뾰족하지만' 열매는 모가 나지 않는다' 오세영의 '열매'는 열매의 둥근 이미지와 뿌리나 가지의 날카로운 이미지를 대비, 대조하고 있지요. 날카롭고 모가 난 것은 다른 존재를 상처 입힐 수 있지만, 둥근 원은 모서리가 없어서 다른 존재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지요. 이러한 원의 속성을 화자는 둥근 열매와 연결하고 있지요. 열매의 둥근 이미지는 사랑과 자비, 그리고 희생을 의미합니다. 뿌리와 가지의 날카로운 이미지는 직선의 속성으로 공격과 파괴를 의미하지요. 이러한 .. 수능특강, 임춘_국순전 해설 해석 분석 가전체 작품인 임춘의 '국순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수능특강, 임춘_국순전 해설 해석 분석 임춘의 '국순전'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2022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작품이죠. 우선 국순(麴醇)의 의미를 설명드리면, 국(麴)은 누룩을 의미하고, 순(醇)은 물을 타지 않은 진국의 술을 의미합니다. 결국 '국순'을 술에 인격을 부여하여 의인화된 인물입니다. 여기까지 말씀드리면 제가 다음에 무엇을 말씀드릴지 눈치채신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우화'와 '가전체'입니다. 여러분, '이솝 우화' 들어 보셨죠? 그 작품의 주인공이 이솝인가요? 아님 사람인가요? 아니죠. 동물들이 주인공이지요. 이솝은 작가 이름이고요. '우화' 수법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인격을 부여하여 의인화하여서 쓴 .. 나희덕, 푸른 밤 해설 해석 분석 나희덕의 현대시 '푸른 밤'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절대적 사랑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나희덕의 '푸른밤 해석과 해설나희덕 시인의 '푸른 밤'에 대한 해석과 해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제가 정말 좋아하는 작품인데요. 유명한 작품이라서 아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사실 나희덕 시인의 작품은 아이들을 가르치다 보면 너무 많이 봅니다. 그리고 정말 글을 잘 쓰시다 보니, 오히려 어떤 교과서적인 정석적인 모습을 많이 보입니다. 나희덕 시인의 작품을 보면 '이것이 시다.' 이런 느낌이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푸른 밤'을 볼 때면 약간의 설렘 섞인 울렁거림이 있어요. 아직 사춘기적 정서를 가지고 있어서요. 요즘 아이들은 연애편지를 쓰지 않지만, 만약 쓴다면 이 작품을 참고할 것을 추천합니다. 너무.. 이전 1 ··· 89 90 91 92 93 94 95 ··· 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