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고전 소설인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래 첨부하는 '채봉감별곡' 해설 자료는 기존에 모의고사에 나왔던 부분과 이번에 수능특강에 수록된 부분을 합쳐서 만들었습니다.
수능특강 수록 부분은 표시를 했고요.
그럼 본격적으로 채봉감별곡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제목인 채봉은 여주인공 이름입니다.
'감별(別曲)'은 이별을 느끼다 정도 되겠네요.
이 작품을 크게 보면 남녀 간의 진정한 사랑과 이별 그리고 다시 만나서 행복하게 잘 산다는 내용입니다.
간략하게 내용을 설명드리면, 채봉은 단풍 구경에서 장필성을 만나 서로 좋아하게 되고 혼인을 약속합니다.
당시가 아니라 지금 봐도 파격적이죠.
첫눈에 반해서 결혼을 결정하다니요.
어느 정도는 자유연애 사상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서도 채봉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이 보이지요.
채봉의 아버지 김 진사는 출세욕이 있는 인물로 한마디로 짜증 나는 인물입니다.
자신이 벼슬 자리를 얻기 위해 '허 판서'에게 재물을 바치고, 딸인 채봉을 허 판서의 첩으로 주기로 약속합니다.
짜증은 짜증이고, 이것을 통해서 두 가지를 알 수 있습니다.
매관매직이 성행했던 조선 후기의 모습을 알 수 있으며 사회가 변동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가부장적 권위와 봉건적 가치관이 여전히 건재했음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딸의 혼사를 부모가 결정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도가의 첩으로 주는 결정을 하는 것으로 봤을 때요.
김 진사는 허 판서에게 벼슬을 얻기 위해 재물을 바치려고 가산을 정리해서 서울로 가던 중 도적을 만나 재산을 빼앗기고 그 사이 채봉은 도망을 갑니다.
장필성과 결혼하기 위해서지요.
그리고 김 진사는 허 판서를 만나서 사실을 이야기하고 분노한 허 판서는 김 진사를 옥에 가둡니다.
여기서 채봉의 어머니라는 작자도 이해가 안 가는데, 김 진사를 옥에서 꺼내 달라고 채봉에게 간청을 합니다.
그리고 채봉은 어쩔 수 없이 기생이 되지요.
채봉은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근대적인 여인상을 보여주지만, 봉건적 가치관을 어느 정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요. 뭐 좋게 말하면 효녀고요.
이런 상황에서 채봉의 능력을 알아본 평양 감사 이보국이 채봉을 기적에서 빼서 일을 보게 합니다.
그리고 그 사실을 알게 된 장필성은 자신의 신분을 낮춰 가면서 이방이 됩니다.
정말 엄청난 결정입니다.
조선 시대에 신분을 포기하다니요.
정말 채봉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채봉과 장필성은 계속 서로 그리워하고 있다가 이보국이 그 사실을 알게 되고 서로 만나게 해 줍니다.
권선징악, 인과응보, 사필귀정이 고전 소설의 특징이지요.
채봉감별곡도 마찬가지입니다.
허 판서는 역적죄로 모든 권력을 잃고, 김 진사와 어머니도 평양으로 돌아오고 채봉과 장필성은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제가 봤을 때 하나가 부족합니다.
김 진사, 아무리 생각해도 나쁜 놈이지요.
너무 설렁설렁 넘어가는 느낌이 있습니다.
작품을 주요한 특징을 정리하면, 채봉이라는 여성 주인공을 의지적이고, 주체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자신이 혼인할 사람을 자신이 결정하고, 그것을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적극적이고 근대적인 여인상을 창조하여 보여주고 있지요.
또 날아다니고 도술을 쓰는 비현실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지요.
고전 소설은 우연적인 성격이 강한데, 이 작품은 비교적 필연적인 사건 전개와 함께 개연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사실적인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봤을 때 '채봉감별곡'은 고전 소설이 근대 소설로 옮겨져 가는 과도기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munbunseon.tistory.com/124
2022년 EBS 수능특강 수능완성 문학 편집 가능 해설 자료 이용 안내,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2022년 EBS 수능특강 수능완성 문학 편집 가능 해설 자료 이용 안내 이번 시간에는 2022년도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 이용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
munbunseon.tistory.com
채봉감별곡 핵심 정리
갈래: 애정 소설, 염정 소설
성격: 사실적, 비판적, 진취적
주제: 에 굴하지 않는 순결하고 진실한 사랑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문체: 문어체, 산문체
배경: 조선 후기
특징:
1. 여성 주인공이 주체적이고 의지적인 모습을 보임(적극적이고 근대적인 여인상 창조).
2. 사실적 표현과 필연적인 사건 전개를 보임(고전 소실이 근대 소설로 옮겨 가는 과정을 보여 줌).
3. 조선 후기의 타락한 사회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냄.
의의: 고전 소설이 근대 소설로 옮겨가는 과정에 있는 소설(사실적 표현과 필연적 사건 전개)
등장인물:
김채봉: 김 진사의 외동딸. 사리가 분명하고 주체적인 여인
장필성: 채봉의 약혼자. 전 선천 부사의 자제로 재주가 뛰어나고 적극적이며 순정적임.
김 진사: 채봉의 아버지. 물질주의적인 가치관을 지닌 인물로서 어리석고 욕심이 많음.
이 씨 부인: 채봉의 어머니. 단순하고 생각이 좁으며 변덕스러움.
허 판서: 장안 제일의 세도가. 매관매직을 하고 첩을 밝히는 등 탐욕스러운 인물임.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 매관매직이 성행했으며 신분 제도가 혼란스러워짐.
· 가부장적 권위와 봉건적 가치관이 남아 있음.
· 자본주의적 가치관이 드러남.
채봉감별곡 전체 줄거리
평양 김 진사의 딸 채봉은 단풍 구경을 나섰다가 전 선천 부사의 아들 장필성을 만나 호감을 갖게 되고 그와 혼인을 약속한다.
김 진사는 벼슬을 할 생각에 허 판서에게 채봉을 첩으로 보내기로 약속한다.
서울로 가던 중 김 진사 일행은 도적을 만나고 채봉은 부모 몰래 평양으로 돌아오지만 허 판서에 의해 옥에 갇힌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기생이 된다.>
장필성은 기생이 된 채봉과 재회하고, 채봉은 평양 감사 이보국의 눈에 들어 이보국의 집에 와 일을 거들고 장필성은 채봉을 보기 위해 이방을 자원한다.
채봉은 가을밤 장필성을 그리워하며 시를 쓰고 울다 잠이 드는데, 이보국이 이를 우연히 보고 채봉에게 그간의 사연을 들은 후 장필성을 만나게 해 준다.
그사이 허 판서는 역적죄로 파면되면서 김 진사와 어머니가 평양으로 돌아오고 채봉은 장필성과 결혼을 한다.
채봉감별곡 해제
이 작품은 작자 · 연대 미상으로, 주인공 채봉과 장필성이 어떤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순결하고 진실한 사랑을 이룬다는 내용의 애정 소설이다.
제재나 배경이 현실적이며 고전 소설이 갖는 우연성을 많이 벗어나 인과적이고 필연적인 사건 전개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근대 소설에 근접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매관매직과 같은 부정부패가 만연해 있던 당대의 부정적 현실을 비판하고 있으며,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는 채봉의 모습을 통해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여성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사회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채봉감별곡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