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가락국)의 건국 설화이자, 가야를 건국한 시초인 김수로왕 신화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수능특강 김수로왕 가락국 신화 해석 해설
그럼 본격적으로 '김수로왕 신화'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김수로왕 신화는 수능특강이나 수능완성
에서 거의 매년 보는 것 같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수록되었고요. 그런데 이름은 조금씩 바뀌어서 나오지요. '김수로왕 신화', '가락국 신화', '구지가' 등으로 말이지요.
우선 김수로왕은 다들 아시지요?
가야를 건국한 왕이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를 자랑하는 김해김씨의 시조이지요.
예전에는 가야를 가락국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가야의 건국 신화를 가락국 신화라고 하고, 김수로왕 신화라고도 하는 것이지요.
앞에 언급한 '구지가'는 무엇이냐면 가야의 백성들이 하늘에 왕을 내려 달라고 기원을 하면서 부른 노래입니다.
김수로왕 신화, 즉 가락국 신화에 수록된 고대 가요로 주술적 성격을 가진 집단 무요이지요.
이렇게 설명할 것들이 많고 이어져 있는 내용이 많다 보니 EBS 교재에서 선호를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김수로왕 신화를 설명드릴게요.
편의상 '가야'라는 표현으로 통일할게요.
당시 가야는 부락 중심으로 통일된 국가가 되지 못해서 힘이 약한 상태였지요.
그래서 백성들은 왕이 내려오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구지봉'에서 신성한 목소리가 들리지요.
구지봉에서 '구지가'를 부르면 왕을 내려 줄 것이라고요.
구지봉은 가야의 백성이 신성하게 여겼던 봉우리로 거북이의 모습을 했다고 해서 그렇게 불렸습니다.
가야는 거북이를 신성하게 여겼던 것 같습니다.
여하튼 이 구지가를 부르니, 하늘에서 '금합'이 내려옵니다.
이 금합은 내려올 존재가 신성함을 의미하지요.
이 금합에는 여섯 개의 황금알이 들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여섯 개의 황금알에서 남자아이들이 태어나지요.
이 여섯은 모두 여섯 가야를 다스리는 왕이 됩니다.
그중 첫째가 김수로왕이지요.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을 설명드리면, 우선 김수로왕은 하늘에서 내려왔습니다.
하늘의 후손, 즉 천손의 혈통이지요.
또 알에서 태어났습니다. 이러한 것을 난생 설화라고 합니다.
김수로왕의 신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천손의 혈통과 알에서 깨어나는 '난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것은 김수로왕의 대단함만을 부각하는 것이 아니라, 가야는 하늘의 후손이 왕인 신성한 국가로 부각하는 효과도 있지요.
또한 하늘을 숭배하는 숭천 사상이 있었으며, 이 작품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주몽 신화의 경우에는 건국 과정에서 시련과 고난을 겪으나, 김수로왕 신화는 건국 과정에서 겪는 고난이 없다는 것도 특징입니다.
작품 중간중간에 중국의 연대기와 중국의 전설적인 인물들을 언급하는데 이것은 김수로왕 신화가 진실임을
부각하려는 의미로 사실성과 역사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 '구지가'라는 현전 최고의 집단 무요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오해하시면 안 되는 것이 현재 전해지는 최고 오래된 집단 무요라는 것이지, 가장 오래된 시가라는 것은 아닙니다.
현전 최고의 시가는 '공무도하가'입니다.
사실 이 부분도 할 말이 많은데, 너무 길어질 것 같아 그냥 넘어갈게요.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가 김수로왕 신화를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우선 촌장이 소수의 부락을 다스리는 원시 촌락에서 왕이 다스리는 국가가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또한 당시가 농경 사회였으며, 부역이 존재했다는 점 등을 짐작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지요.
여기까지 설명할게요. 사실 훨씬 더 많은 내용들이 있지만, 이 글에서 다 설명하기는 어려우니까요.
아래 해설 자료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문학 작품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김수로왕 신화 가락국 신화 핵심 정리
갈래: 설화(건국 신화)
배경: 기원후 42년, 가야국
성격: 신화적, 설화적, 서사적, 상징적, 신이적, 집단적
주제: 수로왕의 신이한 탄생과 가락국의 건국 내력
특징:
건국 시조인 김수로왕에 대한 신격화가 나타남
천손 혈통의 난생 설화, 건국 과정에서 고난이 없음
하늘을 숭배하는 숭천 사상이 반영됨
당시 중국 연대기와 중국 전설적 인물을 언급함으로써 사실성과 역사성 부여
의의:
현전 최고의 집단 무요를 삽입
원시 촌락에서 국가가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줌
천손 하강 + 난생 설화를 보여줌
김수로왕 신화 가락국 신화 전체 줄거리
구지봉에서 나는 이상한 소리를 듣고 구간 등 이삼백 명이 모였다. 그곳에서 집단으로 흙을 파내면서 ‘구지가’를 부르면 기쁜 일이 있을 것이라는 말을 듣고 그와 같이하였더니 하늘에서 붉은색 보자기로 싼 금합이 내려왔다. 그 금합에는 여섯 개의 황금알이 들어 있었는데 그 알에서 여섯 아이가 태어났다. 그중 가장 큰 알에서 나온 사람이 대가야의 임금으로 즉위하고, 이름을 수로라 하였다. 임금은 임시로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다스리다가 새로운 궁궐을 짓고 모든 정치의 기틀을 잡으며 국가의 모습을 갖추었다.
해제
이 작품은 가락국 또는 가야국의 건국 신화로서 구비 전승되다가 고려 시대에 일연에 의해 ‘삼국유사’ <기이편>에 수록되었다. 가야국의 건국 시조인 김수로왕의 탄생과 즉위, 혼인, 죽음에 이르는 일대기가 서사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하늘의 명을 받고 내려온 수로가 자신들의 왕이며 그로 인해 자신들의 나라가 세워졌다는 것에 대한 가야인들의 자부심이 담겨 있다. 건국 신화의 주인공이 지니는 일반적 특성이 잘 드러나 있고 신탁에 의해 백성들이 신을 맞이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작품에 삽입된 ‘구지가’를 통해 고대인의 소박한 상징 수법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