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1103)
박성우 아직은 연두 특징 해설 해석 및 설명 박성우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아직은 연두'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작품의 제목인 '연두'는 색깔 이름이지요. 녹색보다 연한 색깔이자 초록색과 비슷한 색깔이지요. 이 작품에서 화자는 녹색도 아닌 초록도 아닌 왜 연두에 집중하고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지요. 박성우의 아직은 연두 해석과 해설 박성우의 '아직은 연두' 해석과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작품 속에서 '연두'는 화자가 좋아하는 색깔입니다. '난 연두가 좋아'라는 말을 계속해서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하고 있죠. 화자가 생각하는 '연두'라는 색깔은 '초록'이랑은 완전히 다른 색깔입니다. 작품 속 화자가 생각하는 '연두'는 아직 풋풋하고 미성숙하지만 싱그럽고, 또 성장하고 발전하고 있는 존재,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존재를 의미합니..
김동명 내 마음은 특징 해설 해석 및 설명 김동명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내 마음은'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현대시 작품의 일종의 교본과도 같은 작품이지요. 시를 만들 때 운율 형성이나 수사법은 이렇게 활용하는 것이다라는 것을 알려주는 작품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교과서에서 비유법을 설명하거나 운율 형성 방법을 설명할 때 많이 활용하는 작품이지요. 김동명의 내 마음은 해설과 해설 김동명의 '내 마음은'에 대한 본격적인 해설과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이 작품은 화자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화자는 어떤 마음일까요? 사랑하는 존재인 '그대(임)'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고 있지요. 그대에 대한 열정적이고도 희생적인 사랑의 떨림부터, 그토록 사랑하는 그대를 떠날 수밖에 없는 화자의 애달픔과 슬픔을 ..
유하 자동문 앞에서 해석 해설 및 설명 유하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자동문 앞에서'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자동문은 우리가 열고 닫을 필요 없이 앞에 서있기만 하면 열렸다가 닫혔다가 해서 아주 편리하지요. 이 작품에서는 모든 것이 자동화되어 사람이 무엇인가를 할 필요가 없는 현대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소재입니다. 그럼 이 작품의 화자는 이러한 자동문 앞에서 어떤 생각을 했는지 알아보도록 하지요. 유하의 '자동문 앞에서' 해석과 해설 유하의 '자동문 앞에서'의 해석과 해설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작품 속 1~3행까지는 현대 사회가 아무런 움직임이나 주문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자동문 세상'이라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즉 모든 것이 기계화된 사회라는 것이지요. 사실 요즘은 이러한 자동화는 말할 것도 없고 AI, 로봇 등이 발..
김유선 김광섭 시인에게 특징 해석 해설 및 설명 김유선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김광섭 시인에게'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작품의 제목에 등장하는 김광섭 시인은 '성북동 비둘기'를 쓴 아주 유명한 시인으로, 이 작품은 '성북동 비둘기'를 모티프로 활용하여 시상을 전개한 작품입니다. 하지만 작품의 내용과 주제는 전혀 다르지요. 김유선의 '김광섭 시인에게' 해석과 해설 김유선 작가의 '김광섭 시인에게'에 대한 해석과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이 작품의 1~5행을 살펴보면 김광섭 시인이 쓴 '성북동 비둘기'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성북동 비둘기'에서의 '비둘기'는 자연, 순수한 존재, 또는 사회적 약자를 의미하고 있는 시어입니다. 그런데 김유선이 쓴 '김광섭 시인에게'에서 화자는 '성북동에 비둘기가 없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진짜로 비..
김광규 달팽이의 사랑 특징 해석 해설 및 설명 이번 시간에는 김광규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달팽이의 사랑'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여러분 달팽이 보신 적 있으시죠? 그리고 달팽이의 특징도요. 아주 아주 느리지요. 그리고 약합니다. 거대한 세상에서 거대한 우주에서 인간도 티끌과 같은 존재이기는 하지만 이런 인간의 눈에도 달팽이는 너무나도 느리고 약한 존재이지요. 이런 달팽이가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너무나도 느린 몸을 서두르고 서둘러 다른 달팽이를 만나야겠지요. 그리고 도처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련과 고난을 모두 이겨내고 이룬 것이 '달팽이의 사랑'이겠지요. 즉, 이 작품은 달팽이를 통해서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고 이루는 진정한 사랑에 대한 깨달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김광규의 '달팽이의 사랑' 해석과 해설이제 본격적으로 김..
황동규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해석 해설 및 설명 이번 시간에는 황동규 시인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바퀴를 굴리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야겠지요. 우리는 아무 생각 없이 매일 '바퀴'를 사용하고 있지만 '바퀴'는 '활자'의 발명에 비견될 정도로 대단한 발명품입니다. 우리는 바퀴를 통해서 무거운 것을 가볍게 옮기고, 또 적은 에너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지요. 따라서 바퀴를 굴린다는 것은 어떤 것을 변화시키는 것이고, 멈춰 있는 것을 움직이는 것이며,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퀴를 굴리고 싶어 하는 화자의 태도를 볼 때 바퀴를 굴리는 것은 긍정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체되어 부정적인 상황인 현재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싶은..
천양희 외길 특징 핵심 정리 해석과 해설 및 설명 천양희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외길'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보통 문학 작품에서 '길'이라고 하면 삶 또는 인생, 또는 무엇인가 이루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요. 이 작품에서도 길은 삶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외길'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외길의 사전적 의미는 '단 한 군데로만 난 길', 또는 '한 가지 방법이나 방향에만 전념하는 태도'라는 뜻입니다. 조금 풀어서 생각해 보면 남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또 남의 간섭을 받지 않고 나만의 길을 걷겠다는 삶을 살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생각보다 우리 생각대로 살아가지 못합니다.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하고, 사회적, 문화적, 관습적인 것들에 제약을 받아가며 살아가죠. 남자는 남자답게, 또는 여자는 여자답게, 젊은 사람..
정호승 또 기다리는 편지 특징 핵심 정리 해석 해설 및 설명 이번 시간에는 정호승 시인의 '또 기다리는 편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제목을 보면 이 작품이 어떤 내용일지 대충 감이 오지요. 편지는 누군가와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소식을 전하기 위해서 쓰는 수단입니다. 그리고 '또'라는 표현을 통해서 누군가의 소식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음을 제목은 드러내고 있지요. 그럼 이 작품 속 화자가 누구의 소식을 그렇게 간절한 마음으로 기다리는지 알아보도록 하지요. 정호승의 또 기다리는 편지 해석 해설그럼 본격적으로 정호승의 '또 기다리는 편지'에 대한 해석과 해설을 시작해 보지요. 앞서 제목의 의미는 대략적으로 설명을 드렸습니다. 작품의 제목을 통해서 화자는 누군가와 이별한 상황이고, 그 사람에 대한 소식을 간절하게 기다리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정도만 살펴봐도 어..
이성복 서시 특징 핵심 정리 해석 해설 및 설명 이성복의 현대시 '서시' 해석 해설 및 설명이성복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서시'에 대한 해석 및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의 주제는 임의 부재로 인한 그리움과 쓸쓸함 그리고 불안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작품 속 화자는 간단하게 저녁을 때우는데 '늦고 헐한 저녁'이라고 표현하지요. 이러한 표현을 통해서 화자의 현재 상태와 정서가 만족스럽지 못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단순히 음식이 맛이 없거나 분위기가 별로라서가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없기 때문에 뭘 해도 허전하고 쓸쓸함을 느낄만한 상황이었던 것이지요. 저녁을 먹고 밖으로 나온 화자는 바람조차도 낯설게 느끼고 거리는 미끄럽다고 느낍니다. 이는 늘 함께 했던 사랑하는 '당신'이 없는 현재의 상황이 낯설고 불안하게 느껴지는 화자의 정서를 공간적 배..
이성복 꽃 피는 시절 해석 해설 및 설명 2020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이성복의 '꽃 피는 시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성복의 현대시 '꽃 피는 시절' 해석 및 해설그럼 본격적으로 이성복 시인의 '꽃 피는 시절'에 대한 해석과 해설을 진행하겠습니다. 꽃이 피는 사건인 '개화'는 많은 예술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앙상한 나뭇가지에서 갑자기 툭하고 아름다운 꽃이 피어나는 것은 매년 봄이 올 때마다 반복되는 일이지만, 그럼에도 개화의 그 순간은 늘 신비로워 보이고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이렇게 아름답고 신비로운 현상을 감수성이 예민한 예술가들이 보고만 있을 리가 없지요. 이 개화를 중심 소재로 한 작품이 상당히 많은데 오늘 설명을 드릴 이성복 작가의 '꽃 피는 시절'도 개화를 중심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작품 속에서 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