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명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내 마음은'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현대시 작품의 일종의 교본과도 같은 작품이지요. 시를 만들 때 운율 형성이나 수사법은 이렇게 활용하는 것이다라는 것을 알려주는 작품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교과서에서 비유법을 설명하거나 운율 형성 방법을 설명할 때 많이 활용하는 작품이지요.
김동명의 내 마음은 해설과 해설
김동명의 '내 마음은'에 대한 본격적인 해설과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이 작품은 화자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화자는 어떤 마음일까요? 사랑하는 존재인 '그대(임)'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고 있지요. 그대에 대한 열정적이고도 희생적인 사랑의 떨림부터, 그토록 사랑하는 그대를 떠날 수밖에 없는 화자의 애달픔과 슬픔을 다양한 소재에 비유하여 형상화하고 있지요.
1연에서 화자는 자신의 마음을 '호수'에 비유했습니다. 화자의 마음이 호수처럼 잔잔하고 평화롭고 순수한 상태라는 것이지요. 표현 방식을 설명드리면 화자의 마음을 다른 것에 빗대어 표현했기 때문에 비유법을 활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드리면 '~는 ~이다', 즉 'a=b이다' 형식이기 때문에 은유법을 활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작품의 내용으로 돌아가면 화자는 호수인 자신한테 그대에게 노를 저어 오라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마음을 즉 사랑을 받아달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호수에 배가 지나가게 되면 물살이 뱃전에 부딪혀 깨지게 됩니다. 즉, 평화로운 마음을 가지고 있는 화자에게 사랑하는 그대가 오면 어떤 식으로든 충격이 오게 되지요. 화자는 그것을 잘 알지만 그럼에도 자신에게 오라고 간절하게 말합니다. 따라서 화자는 그대에게 열정적이고도 헌신적이며 희생적인 사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2연의 패턴도 1연과 비슷합니다. 화자의 마음을 '촛불'에 비유하고 있지요. 촛불은 자신의 몸을 태워서 주위를 밝히는 희생적이고 열정적인 존재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작품에서도 그렇게 쓰였고요. 사랑하는 그대를 위해서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라는 말을 통해서 그대에 대한 열정적이고도 희생적인 사랑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1연과 2연이 그대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는 부분이었다면, 3연과 4연은 사랑하는 그대와 이별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과 쓸쓸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3연에서는 화자의 마음을 '나그네'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 방랑하는 나그네라는 존재를 통해서 그대를 떠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밝힘과 동시에 외로움과 그리움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지요.
4연에서 화자는 자신의 마음을 '낙엽'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낙엽'은 바람에 따라 여기저기 날리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의지와 관련 없이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니지요. 이러한 비유를 통해서 그대를 떠날 수밖에 없는 화자의 처지와 잠시라도 그대의 곁에 머물고 싶은 화자의 소망이 담겨 있습니다.
*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HWP)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문학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연회원제 카페로 지난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자료부터 현재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에 수록된 모든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문제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력이 되지 않아서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 개별 해설 자료를 구매하실 분은 카카오 오픈 채팅으로 요청하시면 됩니다. 단 자료 구매와 관련된 내용만 상담을 진행합니다. 카톡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늦은 밤, 새벽, 아침을 가리지 않고 심지어 제 자료와는 관련도 없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셔서 저도 사람인지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https://open.kakao.com/o/szzBHFld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비유적, 애상적, 낭만적, 정열적
운율: 내재율
주제: 그대에 대한 사랑의 열정과 그대를 떠나야 하는 애달픔
특징:
1. 다양한 비유적 심상으로 화자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음.
2. 부드럽게 호소하는 듯한 어조를 사용하여 임에 대한 경건함과 진실됨을 나타내고 있음.
구성:
1~2연: ‘그대’를 향한 화자의 열정적이고 희생적인 사랑.
3~4연: ‘그대’로 인한 화자의 그리움과 애달픔.
해제
이 시는 화자의 마음을 다양한 대상에 비유하여, ‘그대’를 향한 화자의 열정적 사랑과 그리움, ‘그대’로 이한 화자의 애달픔을 형상화하고 있다.
김동명 작가 소개
김동명(1900~1968) 호는 초허(超虛). 강원도 명주 태생. 원산에서 교원생활을 시작했는데, 동광학원 원장(1934), 함남중학교장(1945), 한국신학대학 교수(1947)를 거쳐 1948년~1960년까지 이화여대 교수로 재직. 주요 저서에는 초기 시를 모은 첫 시집 『나의 거문고』(1930)와 그의 대표 시집이라고 할 수 있는 『파초』(1938), 『진주만』(1954)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삼팔선』(1947), 『하늘』(1948), 『목격자』(1957) 등의 시집과 『세대의 삽화』(1958) 등의 수필집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