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산문

김원전 핵심 정리 줄거리 소재 모티프 해제 해설

반응형

2024년 EBS 수능완성에서 수록된 고전 소설 작품인 '김원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설화와 모티프를 차용하여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김원전 상세 해설

그럼 고전 소설이자 한글 소설이며 영웅 소설인 김원전의 해설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다양한 모티프, 즉 화소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작품의 줄거리를 간략하게 말씀을 드리면서 활용된 화소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게요. 이 작품의 주인공인 김원은 천상계의 존재였다가 죄를 짓고 인간계로 떨어진 인물입니다. 따라서 '적강 모티프'를 활용했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인간계에 태어날 때 둥근 모양의 마치 수박 같은 모양으로 태어납니다. 인간의 모습이 아니지요. 마치 금방울전을 떠올리게 하는데요. 겉모습이 사람이 아닌 존재가 사람에게 태어났으니 당연히 시련과 고난을 겪었겠지요. 그러다가 10년 후에 허물을 벗고 사람이 됩니다. 이렇게 허물을 벗고 변신하는 것을 '탈각 모티프'라고 하지요. 또 '변신 모티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영웅 소설이고 태어날 때부터 비정상적이었던 주인공이 영웅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지요. 비범한 능력을 가진 주인공은 아귀에게 납치된 공주를 구출하러 지하국에 가서 아귀를 무찌르고 공주들을 구하지만, 부하들의 배신으로 지하국에 갇히게 됩니다. 바로 '지하국 대적 퇴치 화소'가 그대로 차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김원은 지하국을 떠돌다가 용왕의 아들을 구출하고, 용궁으로 가 용왕의 딸과 혼인을 합니다. '용궁 화소'와 관련이 있지요. 용궁과 관련된 대표적인 설화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왕건의 아버지인 왕수재가 용왕의 딸인 용녀와 혼인하여 왕건을 낳았다는 설화인 '왕수재취득용녀설'과 이 설화의 근원 설화인 '거타지 설화' 등이 있지요.

이렇게 용왕의 딸을 데리고 다시 지상계로 금의환향한 김원은 도둑에게 살해되지만 용왕의 딸에 의해 다시 살아나게 됩니다. 바로 정말 많은 작품들에 쓰이고 있는 '재생 모티프'가 활용되고 있지요. 이렇게 다시 태어난 김원은 공주와 결혼을 하여 황제의 부마가 됩니다. 이렇게 두 부인과 주인공인 김원은 행복하게 살다가 신선이 되어 천상계로 돌아갑니다.

정말 많은 화소(모티프)가 쓰였지요?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서술은 쉽게 하면서도 독자들에게 친숙하고 재미있는 작품을 제공하는 것이지요.

 

참고가 될까 하여 김원전과 관련된 작품들에 대한 해설을 링크해 놓겠습니다.

 

거타지 설화 https://munbunseon.tistory.com/entry/%EC%88%98%EB%8A%A5%EC%99%84%EC%84%B1-%EA%B1%B0%ED%83%80%EC%A7%80-%EC%84%A4%ED%99%94-%ED%95%B4%EC%84%A4-%ED%95%B4%EC%84%9D
왕수재취득용녀설 https://munbunseon.tistory.com/entry/%EC%88%98%EB%8A%A5%EC%99%84%EC%84%B1-%EC%99%95%EC%88%98%EC%9E%AC%EC%B7%A8%EB%93%9D%EC%9A%A9%EB%85%80%EC%84%A4-%ED%95%B4%EC%84%A4-%ED%95%B4%EC%84%9D
금방울전 https://munbunseon.tistory.com/entry/%EA%B8%88%EB%B0%A9%EC%9A%B8%EC%A0%84-%ED%8A%B9%EC%A7%95-%EC%A4%84%EA%B1%B0%EB%A6%AC-%EC%9E%91%ED%92%88%EC%9D%98-%EC%88%9C%ED%99%98-%EA%B5%AC%EC%A1%B0-%EC%98%81%EC%9B%85-%EC%84%9C%EC%82%AC-%ED%95%B4%EC%84%A4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https://munbunseon.tistory.com/entry/%EC%88%98%EB%8A%A5%ED%8A%B9%EA%B0%95-%EC%A7%80%ED%95%98%EA%B5%AD-%EB%8C%80%EC%A0%81-%ED%87%B4%EC%B9%98-%EC%84%A4%ED%99%94-%ED%95%B4%EC%84%A4

 

김원전-해설-1
김원전-해설-1

 

김원전-해설-2
김원전-해설-2

 

김원전-해설-3
김원전-해설-3

 

김원전-해설-4
김원전-해설-4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고전 소설, 전기 소설, 영웅 소설, 괴담 소설.

성격: 전기적.

구성: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의 5단 구성.

제재: 김원의 위기 극복.

주제: 아귀를 퇴치하고 공주를 구한 김원의 활약상.

 

특징:

1.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를 기본으로 하여 탈각 설화, 용궁 설화, 재생 설화 등 다양한 설화가 혼재되어 있음.

2. 초월적 존재의 등장, 변신 모티프, 재생담 등과 같은 환상적 요소를 가미해 오락성을 추구함.

3. 주인공의 행보에 따라 공간이 다양하게 전개됨.

4. 하늘에서 죄를 지어 지상으로 쫓겨난 김원이 수박으로 태어나는 적강 모티프가 반영됨.

5. 영웅이 거쳐야 할 통과 의례적 공간으로 '지하 동굴'을 설정하여 사건을 극적으로 전개함.

6. 주인공이 행복을 추구하고 획득해 가는 과정을 통해 독자에게 만족감을 줌.

 

인물 분석

· 김원: 수박 형상을 하고 김규의 아들로 태어난 인물. 정의로움을 신봉하며 범인과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음. 열 살이 되어 허물을 벗고 아귀를 퇴치하여 잡혀간 공주를 구함.

· 막내 공주: 아귀에게 인지로 잡혀 지하국에서 생활하는 공주. 주도면밀한 성격으로 김원이 아귀의 칼을 쓰도록 하여 아귀를 퇴치하는 데 큰 도움을 줌.

· 아귀: 돌, 풀, 곤충과 짐승들만이 존재하는 지하국에서 공주들을 인질로 삼아 시녀로 부리고 있는 머리 아홉 달린 괴물. 

 

해제

이 작품은 작자와 창작 연대가 알려지지 않은 국문 고전 소설로,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설화를 바탕으로 완성된 소설이다. 괴상한 모습으로 태어난 주인공이 자신의 원래 모습을 회복한 후, 황제의 명을 받아 요괴에게 납치된 공주를 구출하고 용왕의 사위가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는 내용으로 전형적인 영웅 소설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천상적 존재가 적강한 것으로 그려져 있다는 점과 주인공이 비인간의 형태로 태어나 고통을 감내하고 능력을 발휘하여 인간이 모습을 찾는 서사 전개를 보인다는 점에서 '금방울전'과 유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줄거리

천상적 존재인 남두성은 하늘나라에서 죄를 짓고 지상으로 쫓겨나, 김수와 부인 유 씨 사이에서 둥근 모양의 괴상한 형태로 태어난다. 둥근 모양으로 태어나 10년 만에 허물을 벗고 미남자로 변신한 김원은 아귀가 황제의 세 공주를 납치하자 도원수가 되어 공주를 구출하기 위해 지하로 내려간다. 지하 동굴로 내려간 김원은 아귀를 죽이는 데 성공하나 부하들은 김원의 공을 가로채기 위해 굴 입구를 막아 버린다. 굴속을 헤매던 김원은 용왕의 아들을 구하고 이를 계기로 용궁으로 가서 용왕의 딸과 결혼한다. 용왕의 딸과 고국으로 오던 김원은 주점 주인에 의해 살해되지만 선녀의 도움으로 다시 살아난다. 이후 황제는 김원을 부마로 삼고 용녀를 정숙 공주에 봉하고 김원은 두 부인과 함께 부귀공명을 누리다가 승천한다.

 

소재의 기능 및 역할

· 허물: 십 년 동안 김원을 싸고 있던 것으로, 승상이 김원의 정체와 사연들을 믿게 하는 계기가 됨.

· 수박: 김원이 십 년 동안 수박의 형태로 있었으며, 아귀가 자는 협실로 들어갈 때 수박으로 변신하기도 함.

· 독한 술, 좋은 안주: 아귀의 경계심을 풀기 위한 것으로, 김원이 아귀를 죽이는 데 기여함

· 재: 아귀가 원래 형체와 힘을 회복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함.

 

작품에 드러난 공간의 이동

1. 천상계: 남두성이 죄를 지어 옥황상제로부터 벌을 받음.

2. 지상계: 김원이 괴상한 모습으로 태어나 내당과 월영각에서 지냄. / 김원이 십 년 만에 허물을 벗고 인간으로 변신하여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 김원이 도원수가 되어 공주들을 구출하러 지하로 감.

3. 지하계: 아귀를 물리치지만 부하들이 김원을 시기하여, 김원이 지하에 갇힘. / 지하에서 용왕의 아들을 구함.

4. 용궁: 용궁에 가서 용왕의 딸과 혼인을 함

5. 지상계: 고국으로 돌아오다가 도적에 의해 피살을 당했다가 환생을 함. / 고국으로 와 부마가 되어 행복한 삶을 살다가 신선이 됨.

 

김원의 고난 극복

· 고난1: 천상에서 죄를 짓고 흉측한 모습으로 태어나고, 승상 부부가 김원을 흉물로 여김.

· 극복1: 십 년 만에 허물을 벗고 인간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 고난2: 공주를 구출하러 지하로 내려갔다가 부하들 때문에 지하에 갇힘.

· 극복2: 용왕의 아들을 구하고 용왕의 도움으로 지상으로 나옴.

· 고난3: 용왕이 김원에게 준 연적을 훔치려는 자에 의해 김원이 죽임을 당함.

· 극복3: 용왕의 딸에 의해 다시 살아나 황제의 부마가 됨.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화소(모티프)

· 적강 화소: 천상계의 남두성이 죄를 짓고 지상에서 김원으로 태어남.

· 탈각 화소: 김원이 수박처럼 생긴 허물을 쓰고 십 년을 살다가 허물을 벗고 사람으로 변함.

· 지하국 대적 퇴치 화소: 김원이 지하국 요괴인 아귀를 물리치고 공주를 구함.

· 용궁 화소: 김원이 지하 세계를 떠돌다 용왕의 아들을 구하고, 용궁으로 가 용왕의 딸과 혼인을 함.

· 재생 화소: 김원이 용왕에게서 받은 연적으로 인해 도둑에 의해 살해되지만 되살아남. 

 

김원전의 공간적 배경

이 글에서 지하와 바다 밑 용궁이라는 신비로운 장소가 설정되어 있다. 그 공간은 근본적으로 인간 세계와는 분리되어 있지만, 인간 세계와 완전히 독립된 공간이 아니라 언제든지 서로 넘나들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주인공인 김원은 이 두 공간에서 배필을 만나게 된다. 즉, 이 두 공간은 김원이 배우자를 찾는 공간이면서,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극복하는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