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산문

봉산 탈춤 핵심 정리 재담 구조 전통극과 서양극의 차이점 해설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우리나라 전통극이자 가면극인 '봉산 탈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21년 EBS 수능특강과 2019년 수능특강에 수록되었으며 많은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이지요. 수능 대비가 아니더라도 꼭 알아야 하는 작품입니다. 우리나라 전통극의 특징과 서양극과의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니까요.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봉산 탈춤 해설

가면극이자 탈춤인 봉산 탈춤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봉산 탈춤은 공연 문학입니다. 탈을 쓰고 연기를 하는 배우와 악기를 연주하는 악공, 그리고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교과서에서는 연극과 봉산 탈춤과 같은 우리 전통극을 많이 비교하지만, 사실 탈춤은 현대의 뮤지컬과 좀 비슷하지요. 연기와 노래와 춤이 함께 하니까요. 

봉산 탈춤과 같은 전통극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연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대해서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전통극은 사람이 많은 곳이라면 어떤 곳에서든 이루어졌습니다. 주로 유동 인구가 많은 시장이나 저자 거리에서 이루어졌지요. 공연 팀은 사람이 많이 모일 수 있는 곳 근처에 있는 공터에 자리를 잡습니다. 그리고 사람을 모으고 공연을 시작하지요. 즉, 무대를 따로 꾸미지 않고, 특별한 무대 장치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도 거의 없지요. 또한 상황에 대한 설정도 배우가 독자들에게 이야기해 주면 그러한 설정이 됩니다. 이것이 무슨 이야기냐면 공간적 배경이 한양이었더라도 배우가 '중국으로 이동을 했다'라는 말을 하면 그곳이 중국이 됩니다. 그냥 관객들이 납득하면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극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것저것 제약이 많은 서양극과의 큰 차이점입니다.

또 전통극은 무대와 객석 간에 경계가 없습니다. 이것이 무슨 말이냐면 배우와 악공, 그리고 관객이 자유롭게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배우들이 관객의 호응을 얻기 위해 말을 걸어서 극에 참여시키기도 하고, 관객이 배우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서 추임새를 넣기도 하고 다양하게 말을 주고받습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다양한 변수를 만들고 배우들은 다양한 변수에 능수능란하게 대응하고 애드리브도 잘해야겠지요. 즉, 배우의 역량이 높아야만 극의 진행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서양극은 배우와 관객은 소통하지 않지요. 관객은 극에 참여하지 않고 조용히 극을 관람해야 합니다. 여하튼 이러한 전통극의 특징들은 배우와 관객 간의 거리감을 줄여줍니다. 즉, 서로 친근함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지요. 마치 친구가 된 것처럼요. 뭐 여러분들은 그러시지 않겠지만 친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뭘 많이 하죠? 그렇습니다. 자신들을 힘들게 하거나 짜증 나게 하는 사람들의 뒷담화를 하게 됩니다. 그럼 당시에 사람들을 힘들게 했던 존재가 누구였을까요? 그렇습니다. 바로 양반들이지요. 그래서 당시의 전통극들은 양반을 비판하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 작품들이 매우 많았지요. 재미도 있고 깔 것도 많고 속도 후련하고요. 그리고 우리 전통극의 특징들이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재미를 주기에도 효과적이었고요. 

 

봉산탈춤-해설-1
봉산탈춤-해설-1

 

봉산탈춤-해설-2
봉산탈춤-해설-2

 

봉산탈춤-해설-3
봉산탈춤-해설-3

 

봉산탈춤-해설-4
봉산탈춤-해설-4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가면극, 탈춤, 민속극.

성격: 풍자적, 해학적, 희화적, 서민적, 비판적.

구성: 전 7 과장의 옴니버스식 구성.

배경: 조선 후기, 황해도 봉산.

주제: 양반에 대한 풍자와 조롱.

 

특징:

1. 일정한 재담 구조가 반복되면서 내용이 전개됨.

2. 각 과장이 독립적으로 구성됨.

3. 서민 계층의 언어와 양반 계층의 언어가 섞여 있음(언어의 이중성).

4. 언어유희, 열거, 과장, 희화화 등을 통해 양반을 풍자하고 비판함.

5. 특별한 무대 장치가 없어 시간과 공간의 이동이 자유로움.

6. 등장인물의 겉모습을 통해서 신분이나 성격을 표현함.

7. 배우와 관객 또는 악공과의 소통이 자유로움(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없음).

 

의의: 조선 후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근대적인 서민 의식의 성장을 보여 줌.

 

전체 구성

•제1과장: 사방신에게 배려하는 의식무.

•제2과장: 팔먹중의 파계와 법고놀이 장면.

•제3과장: 사당과 거사들이 흥겹게 노닒.

•제4과장: 노장이 유혹에 넘어가 파계했다가 취발이에게 욕을 봄.

•제5과장: 사자가 파계승을 혼내고 화해의 춤을 춤.

•제6과장: 양반의 허세를 희화화하고 풍자함.

•제7과장: 영감과 미얄, 첩의 삼각관계와 미얄의 죽음.

 

해제

이 작품은 한양과 의주를 잇는 남북 직로상의 교통 요지였던 황해도의 봉산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황해도 일대에서 성행한 민속극이다. 일반 가면극처럼 춤이 주가 되고, 몸짓, 동작, 재담, 노래 등이 따른다. 음악은 피리, 대금, 해금, 장구, 북으로 구성된 삼현 육각이 연주한다. 전체가 7마당 5거리로 구성되었으며, 각 과장이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성격을 띤다.

 

재담 구조와 반복 효과

‘양반의 위엄 → 말뚝이의 조롱 → 양반의 호령 → 말뚝이의 변명 → 양반의 안심’의 구조가 반복됨.

* 재담 구조의 반복 효과: 양반에 대한 풍자와 조롱의 효과 극대화, 공연 문학이어서 관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함

 

전통극(가면극, 탈춤)과 서양 연극의 차이점

1. 가면극(탈춤):

· 극 중 장소와 공연 장소가 일치함.

· 무대 장치화 소품이 필요하지 않음.

· 관객이 극 중에 참여할 수 있음.

· 각 장면이 서로 인과 관계가 없는 옴니버스식 구성으로 이루어짐.

 

2. 서양 연극:

· 극 중 장소가 공연 장소와 일치하지 않음.

· 무대 장치와 소품이 필요함.

· 관객의 극 중 참여는 불가능함.

· 극의 처음부터 끝까지 유기적인 관계로 이어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