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규중칠우쟁론기 해설

반응형

고전 수필 작품인 '규중칠우쟁론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19년 EBS 수능특강과 2024년 EBS 수능완성에 수록되었습니다.

 

규중칠우쟁론기 해설

규중칠우쟁론기를 제목부터 해서 작품의 세세한 내용까지 해설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제목부터 설명을 드리면 '규중'은 규수, 즉 부녀자가 기거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말로 규방, 내방 등이 있지요. 칠우는 일곱 벗, 친구라는 의미지요. '쟁론'은 말싸움을 했다는 의미고요. 정리하면 부녀자의 방에서 일곱 벗이 싸운 이야기 정도가 되겠네요.

그럼 이 칠우가 누구냐 바느질을 할 때 쓰는 도구들입니다. 바늘, 실, 자, 가위, 골무, 인두, 다리미입니다. 이렇게 바느질 도구들을 의인화하여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아닌 것을 인격을 부여하여 사람처럼 표현하여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을 '우화'라고 하지요. 이 작품은 우화 기법을 활용하여, 당시의 세태를 우회적으로 비판, 즉 풍자하고 있습니다.

그럼 어떤 것을 비판하고 있냐고요?

공치사만 일삼는 이기적인 세태와 실질적 능력보다는 아첨과 아부로 인정을 받는 상황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이 작품의 주제가 되겠지요.

이 작품의 중심 소재가 바느질과 관련된 도구인 것으로 보아 아마도 작가는 여성으로 추측이 됩니다. 당시 바느질은 여성들이 하는 일로 이 수필은 상당히 여성적임을 알 수가 있지요. 이렇게 필자층과 독자층이 여성인 수필을 내간체 수필이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입니다. 국어 중, 고등 수업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핵심 정리

갈래: 고전 수필(한글 수필), 내간체 수필.

성격: 교훈적, 우화적, 논쟁적, 풍자적.

제재: 바느질 도구들의 공치사와 불평.

주제: 공치사만 일삼는 이기적인 세태 풍자, 주제 역할과 직분에 맞는 삶에 대한 인식과 추구.

 

특징:

1. 일상적인 사물을 의인화하여 세태 풍자.

2. 3인칭 시점의 객관적이고 관찰자적인 태도로 서술 봉건 사회 속에서 변해가는 여성 의식 반영.

 

전체 줄거리

규중 부인이 잠든 사이 칠우는 제각기 자신의 공을 늘어놓으며 다투는데, 부인에게 꾸중을 듣게 되자, 이번에는 자신들의 신세를 한탄하며 부인에 대한 원망과 불평을 늘어놓는다. 잠에서 깬 부인이 이를 꾸짖자 감토 할미가 나서서 사죄함으로써 죄를 용서받고 그 공을 인정받게 된다.

 

해제

이 작품은 작자 미상의 한글 수필로, 규방 부인이 침선에 사용하는 도구들을 척 부인(자), 세요 각시(바늘), 교두 각시(가위), 청홍 각시(실), 인화 부인(인두), 울 낭자(다리미), 감토 할미(골무)로 의인화하여 인간 세상의 처세술을 드러내며 풍자하고 있다. 규중 칠우는 의복을 만들고 관리하는 일과 관련해 저마다 자신의 입장에서 자신의 공을 내세우는데, 도구의 모양이나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세심한 관찰력이 돋보인다. 규중 칠우를 조선조 규방 여인들을 의인화한 존재로 본다면, 자신의 능력과 노고를 인정받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내포한 작품으로도 볼 수 있다.

 

작품에 나타나는 주제 의식

이 작품은 '규중 칠우가 공을 다투는 부분'과 '인간에 대한 원망을 하소연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처음에 칠우는 서로를 비난하고 헐뜯는 경쟁 관계에 있다가, 나중에 인간을 비난하는 대목에서는 서로 같은 입장이 되어 탄식하고 동정하는 관계로 변한다. 즉, 전반부의 규중 칠우는 '이기적이고 남을 깎아 내리기 좋아하는' 인간들의 모습 자체를 나타낸다면, 후반부의 규중 칠우는 '실제 인간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역할'을 담당핝다. 이처럼 두 가지 방향에서의 풍자를 통해 자신의 처지를 망각하고 교만하거나 불평, 원망하지 않고 사리에 따라 순응, 성실해야 한다는 점을 주제 의식으로 내세우고 있다. 

 

규중칠우쟁론기-해설-1
규중칠우쟁론기 해설_1

 

규중칠우쟁론기-해설-2
규중칠우쟁론기 해설_2

 

규중칠우쟁론기-해설-3
규중칠우쟁론기 해설_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