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바리데기(바리공주) 해설
이번 시간에 분석할 작품은
올해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바리데기' 또는 '바리공주'로 불리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의 제목인 '바리데기'는 버려진 아이라는
뜻으로 원하던 아들을 낳지 못하고 계속 딸만
낳게 된 오구 대왕이 일곱 번째 딸을
바리데기라고 이름 짓고, 버린 것에서 유래합니다.
버려진 바리데기는 신적 존재들에게 보살핌을
받아 잘 자라고, 바리데기의 아버지와 어머니인
오구 대왕과 그 부인이 죽을 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 바리데기는 온갖 고생을 하여
약을 구해서 죽었던 왕과 왕비를 살립니다.
그 후에 바리데기는 이승과 저승을 중개하는
죽음을 관장하는 무속 신앙의 신이 되지요.
이 작품은 무속 신의 탄생을 밝히는 무조 신화가
되며,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굿을
'오구굿'이라고 하는데 이 굿에서 불리는
서사 무가 중에 하나입니다.
서사 무가라는 의미는 스토리가 있으며,
무속 신앙과 관련 있는 노래라는 의미입니다.
이 작품의 특징은 전형적인 영웅 일대기적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능력이 아닌 신적 능력을
갖은 조력자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입니다.
또 바리데기의 수난을 통해서 남녀차별적
사회 분위기에서 여성의 수난과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은근히 비판하고 있다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 아래 PDF 파일 형식의 자료를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수능특강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입니다. 국어 중, 고등 수업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핵심 정리
갈래: 무속 신화, 서사 무가, 무조 신화
구성: 영웅 설화적 구성
성격: 신화적, 서사적, 무속적, 교훈적, 영웅 일대기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문체: 산문체, 부분적으로 가사체
주제: 바리공주의 고난과 희생을 통한 구원의 성취
죽음을 이겨내고 영원을 얻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
특징: 전국적인 전승 양상을 보이는 서사 무가
한국 서사 문학의 한 특질인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취함
죽음을 주관하는 무조신의 유래를 밝힌 본풀이(서사 무가)임
여성의 수난과 극복 모티프와 구약 여행(약을 구하러 여행을 다님) 모티프, 기아, 재생, 효행 설화 결합
구비 전승된 서사 무가로서 구어적 문체로 서술됨
전체 줄거리
불라국의 오구 대왕과 그 부인은 딸만 내리 일곱을 낳고, 화가 난 대왕은 일곱째로 태어난 딸을 내버린다. 버림받은 딸 바리공주는 석가세존의 도움으로 무사히 자라난다. 세월이 흘러 오구 대왕과 부인은 큰 병이 든다. 그 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서천 서역국에 있는 신이한 약물이 필요하지만 만조백관과 여섯 딸이 모두 약물 구하러 가는 것을 거절하고, 결국 버림받은 바리공주가 찾아와 약물을 구하겠다고 떠난다. 바리공주는 무상 신선의 요구로 고된 일을 여러 해 해 주고 그와 혼인하여 일곱 아들까지 낳은 뒤 겨우 약물을 얻어 돌아온다. 돌아오는 길에 바리공주는 왕과 왕비의 상여를 만나고, 죽은 왕과 왕비의 입에 약물을 흘려 넣어 왕과 왕비를 회생시킨다. 그 공으로 바리공주는 신과 인간의 영역을 중개하는 신적인 존재가 된다.
해제
이 작품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이승에서 저승으로 천도하기 위해 행해지는 오구굿에서 불리는 서사 무가로, 한국 서사 무가의 전통적인 성격을 가장 잘 지니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 작품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는데, 첫째는 온갖 고난과 시련을 극복하고 마침내 저승을 관장하는 신이 되는 바리공주의 일생이 영웅 서사의 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핍박받는 바리공주의 삶을 통해 남존여비 사상과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죽은 부모를 회생시키는 구원자의 모습을 보이는 내용을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오구굿에서 부른다는 점에서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자 하는 민중의 소망과 초월적 세계에 대한 염원을 엿볼 수 있다.
상세 설명
'고전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중칠우쟁론기 해설 (0) | 2020.12.28 |
---|---|
임장군전 해설 (0) | 2020.12.03 |
수능특강 권필, 주생전 해설 (0) | 2020.06.13 |
수능특강 조성기, 창선감의록 해설 (0) | 2020.06.09 |
수능특강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 (2) | 2020.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