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1078)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능특강 임철우, 동행 해설 임철우 작가의 현대소설 작품인 '동행'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여러분 '광주 민주화 항쟁'이라고 들어보셨나요?저희 세대는 다 알지만, 요즘 세대들은 그 기억이 많이 흐릿해진 것이 사실이지요. 제가 어렸을 때는 '광주사태'라고 불렀으며, 매스컴에서 언급조차 쉬쉬했던 사건이지요. '광주 사태'라는 표현은 광주 지역에서 내란이 일어나 폭도들인 진압한 사건이라고 당시 정부는 사람들에게 호도했습니다. 진실은 전두환 세력이 군사 쿠테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후, 이에 반발하여 시위하던 광주 시민들을 총칼로 위협하는 것으로도 모자라 실제 탱크를 몰고가서 총으로 쏴서 시민들을 죽인 비인권적인 사건이지요. 광주가 고향인 친구한테 당시 상황을 물어보지 그때 자신은 엄마 뱃속에 있어서 잘 모른다고 하더라고요. 친한 선생님 한 .. 수능특강 김광규, 상행 해설 2024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현대시 김광규의 '상행'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21년 EBS 수능특강에도 수록되었고, 또 교과서에도 많이 수록된 유명한 작품이지요. 수능특강 김광규, 상행 해설김광규의 '상행'은 급격한 근대화와 산업화로 무수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그 문제들을 외면하고, 현실에 안주하는 우리들의 소시민적 모습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 작품입니다.이 작품은 주로 반어적 표현을 통해서 시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이나 현실을 비판하는 소리에는 귀를 기울이지 말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이러한 것들에 신경을 쓰고 바꿔 나가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지요.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항상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지요. 그러나 우리는 그것들이 우리의 삶에 직접.. 한용운, 님의 침묵(임의 침묵) 해설 한용운 시인의 현대시 '님의 침묵(임의 침묵)'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랑하는 임이 나와 정답게 대화를 나누지 않고 침묵만 하는 상황은 결코 긍정적인 상황이 아니겠지요. 함께 임이 침묵하는 상황이 과연 어떤 상황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시죠. 한용운, 님의 침묵(임의 침묵) 해설 한용운 작가의 '님의 침묵'에 대한 본격적인 해설을 시작할게요. 이 작품은 작품 전반에서 부드럽고 섬세한 태도를 보이며 여성적 어조를 잘 활용한 작품입니다. 여성적 어조를 잘 활용하는 것이 한용운 시인의 특징과 장기 중에 하나이지요. 우선 제목부터 설명을 드리면, 사랑을 속삭여야 할 '임'이 침묵을 한다는 것은 부정적 상황인 것이지요. 그럼 침묵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서로 사랑하는 사이에 말을 안 할 수가 있.. 수능특강 정읍사 해설 2023년 EBS 수능완성에 수록된 백제가요 '정읍사'를 설명드리겠습니다. 2021년 EBS 수능특강에도 수록되었지요. 이 작품은 교과서에 많이 수록된 작품으로 내신에서 많이 중요한 작품이지요. 왜냐하면 '정읍사'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가요니까요. 교과서에 많이 등장을 해서 너무 유명한 작품이다보니 수능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유일한 백제 가요라는 점에서 수능에 출제될 수도 있으니 꼼꼼하게 공부를 해두시기를 당부합니다. 정읍사를 모티프로 한 문순태 작가의 '정읍사 - 그 천년의 기다림'이라는 작품도 있으니 참고하시고요.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수능특강 용비어천가 해설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용비어천가 해설 이번 시간에 분석할 문학 작품은 올해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용비어천가'입니다. 세종 이전의 6대조의 조상들을 용에 빗대어 표현하여 조선을 건립한 이성계 일파의 훌륭함을 예찬하고, 조선 건립의 정당성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악장'이라는 갈래로 되어 있습니다. 악장이라는 갈래가 좀 생소하실 수 있는데, 악장은 궁중 행사 때 음악을 연주하며 노래로 부르던 노래의 가사입니다. 주로 국가에 대한 축복이나 건립의 정당성, 왕의 능력을 예찬하는 등 국가가 잘 운영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선포하기 위한 성격이 강합니다.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지요. 궁중 음악의 가사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백성은 접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향유 계층이 적었지요... 수능특강 박효관, 뉘라셔 가마귀를 해설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박효관, 뉘라셔 가마귀를 해설 이번 시간에 분석할 작품은 올해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박효관의 '뉘라셔 가마귀를'입니다. 이 작품은 일반적인 통념을 비판합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까마귀의 검은 외모 때문에 까마귀를 싫어하고 나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화자는 효를 행하는 까마귀의 습성을 칭찬하며, 인간이 까마귀만도 못한 현실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 시조에 나오는 '반포지효'는 까마귀는 늙은 부모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효를 행한다는 의미의 한자 성어지요.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수능특강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 수능특강 바리데기(바리공주) 해설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바리데기(바리공주) 해설 이번 시간에 분석할 작품은 올해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바리데기' 또는 '바리공주'로 불리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의 제목인 '바리데기'는 버려진 아이라는 뜻으로 원하던 아들을 낳지 못하고 계속 딸만 낳게 된 오구 대왕이 일곱 번째 딸을 바리데기라고 이름 짓고, 버린 것에서 유래합니다. 버려진 바리데기는 신적 존재들에게 보살핌을 받아 잘 자라고, 바리데기의 아버지와 어머니인 오구 대왕과 그 부인이 죽을 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 바리데기는 온갖 고생을 하여 약을 구해서 죽었던 왕과 왕비를 살립니다. 그 후에 바리데기는 이승과 저승을 중개하는 죽음을 관장하는 무속 신앙의 신이 되지요. 이 작품은 무속 신의 탄생을 밝히는 무조 신화가 되며, .. 수능특강 권필, 주생전 해설 권필의 고전 소설 '주생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인 '주생전'을 설명드리면 '주생'은 주인공의 이름입니다. '전'은 한 인물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삶을 일대기적으로 엮은 갈래를 의미하고요. 제목의 의미는 주생의 삶 정도가 되겠네요. 그럼 주생의 삶이 어떠했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2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 2020년 3월 고3 모의고사 윤선도, 견회요 해설 2024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윤선도의 전 5 수로 구성된 연시조인 '견회요'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 이 작품은 2020년 3월 고3 모의고사에도 출제되었지요. 그래서 예전에 이 글을 썼는데 이번 수능특강에 출제된 김에 글에 내용을 추가하고 보완하려 합니다. 이 작품을 비롯하여 수정과 편집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 수능특강 정약용, 보리타작(타맥행) 해설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정약용, 보리타작(타맥행) 해설 이번 시간에 분석할 작품은 올해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정약용의 '보리타작(타맥행)'입니다. 이 작품은 여기저기에서 많이 등장합니다. 특히 한자로 되어져 있으며, 중국의 시풍을 사용한 갈래인 한시도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의 정서와 문화를 바탕으로 썼기 때문에 우리 문학이라는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서 자주 등장하지요. 우리가 타작하면 떠오르는 것이 매타작인데요. 사실 타작은 곡식을 때려서 알곡을 거두는 일입니다. 때려서 알맹이를 얻다 보니 이런 말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 작품은 농민들이 흥겹게 보리타작을 하는 모습을 보고, 노동하는 농민들의 건강한 삶의 모습과 보리타작하는 모습의 역동성을 잘 드러낸 작품입니다. 또한 화자는 .. 이전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