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진 작가의 '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국어 교과서에 많이 실리는 작품으로 내신에서 중요한 작품입니다.
긍정적 소재와 부정적 소재의 대비, 4음보와 'a-a-b-a 구조', 음성 상징어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및 의미 강조, 그리고 남성적 어조 등 현대시의 기본적 이론을 가르치기 좋은 작품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위에 언급한 부분들이 이 작품에서 중요한 부분들이기도 합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2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박두진의 '해', 광명과 평화의 상징인 해에 대한 간절한 열망
그럼 본격적으로 박두진 작가의 '해'의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사실 이 작품은 제목을 설명하는 것이 이 작품의 전체를 설명하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럼 제목부터 설명을 시작할게요.
우리는 태양이 없이는 살 수가 없지요.
그래서 수많은 작품에서 해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빛을 밝히니 광명, 또 희망, 소망, 생명력 등 긍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지요.
물론 이 작품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럼 왜 제목이 '해'일까요?
아마도 '해'를 소망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렇다면 왜 해를 소망할까요?
지금 상황이 해가 뜨지 않은 부정적인 상황인 밤이어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함께 내용을 살펴보면서 알아보도록 하죠.
https://link.coupang.com/a/uN51l
미닉스 미니 건조기 PRO 3kg 소형 빨래 원룸 자취 의류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사실 이 작품은 첫 줄을 살펴보면 이 작품의 대략적인 내용을 대부분 알 수 있습니다.
'해야 솟아라'라고 되어 있지요.
솟기를 바라니 당연히 해는 긍정적 소재가 되겠지요.
어떤 것을 바라는 것은 그것이 결핍되어 있는 현재 상황이 부정적이라는 의미도 됩니다.
그러니 부정적인 상황에서 긍정적 상황이 되기를 소망하는 것이지요.
또한 명령형을 사용하였습니다.
명령형을 통해서 남성적 어조를 만들어내고, 이것을 통해서 간절한 소망과 이것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 것이겠지요.
또 '~아라'라는 종결 표현(종결 어미)이 반복이 되니 운율을 형성하게 되지요.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에서 '해야 솟아라'를 a라 하고, 다른 시구인 '말갛게 씻은 얼굴'을 b라고 하면, 'a-a-b-a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같은 것, 같은 것, 다른 것, 같은 것이라는 구조를 통해서 운율 형성과 의미를 강조하면서도 단조로움을 피하는 패턴인 것이지요.
우리 문학에서 아주 자주 사용하는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위의 구절을 보면 의미상으로 또 끊어서 읽히는 것도 4덩어리로 읽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 작품은 4음보의 음보율을 활용해서 운율을 형성함과 동시에 빠른 호흡을 보이고 있습니다.
4음보를 통해서 급박한 호흡(리듬)을 형성하고 해가 빨리 떠오르기를 바라는 소망과 의지를 강조하고 있죠.
'훨훨훨'과 같은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운율과 생동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음성 상징어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통틀어서 칭하는 단어이며, 의성어는 소리를 흉내 낸 말, 의태어는 모양을 흉내 낸 말입니다.
여기서 혼동하시면 안 되는 것이 의성어와 의태어가 무조건 운율을 형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왜 운율이 형성된다고 말을 하냐면 대부분의 음성 상징어는 소리가 반복이 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음성 상징어라도 반복이 되지 않으면 그것은 운율을 형성하지 않지요.
이 작품의 또 다른 특징으로 밝음의 이미지와 어둠의 이미지가 대비, 대조를 이루어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해'로 대표되는 긍정적인 의미의 밝음과 달밤으로 대표되는 부정적 의미의 대립을 통해서, 부정적 상황에서의 힘겨움과 이것을 극복하게 해 줄 '해'에 대한 소망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죠.
박두진, 해 핵심 정리
갈래: 산문시, 서정시, 상징시
성격: 열정적, 상징적, 미래지향적
주제: 화합과 평화의 세계에 대한 소망
특징:
1. 밝음’과 ‘어둠’의 대립적 구도를 사용하여 시상 전개.
2. 어휘와 구절의 반복, 4 음보의 급박한 리듬, 강렬한 남성적 어조를 통해 주제를 강조함.
구성:
1연: 광명의 세계에 대한 소망.
2연: 절망적 세계에 대한 거부.
3연: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
4, 5연: 화합과 공존의 모습.
6연: 이상적 세계에 대한 소망.
박두진, 해 상세 설명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용운, 님의 침묵(임의 침묵) 해설 (0) | 2020.06.25 |
---|---|
수능특강 송수권, 등꽃 아래서 해설 (0) | 2020.05.06 |
수능특강 고재종, 들길에서 마을로 해설 (0) | 2020.05.02 |
수능특강 유하, 빠삐용 - 영화 사회학 해설 (0) | 2020.05.01 |
유치환, 행복 해설 (2) | 202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