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시인의 현대시 '목구'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정말 유명한 백석 시인의 인지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유명한 작품이니 아주 중요한 작품입니다. 기회가 될 때 꼭 챙겨두세요.
백석, 목구 해석 해설
그럼 백석의 '목구'에 대해서 해설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목구'라는 말이 생소하실 텐데요. '목구'는 '목기'의 평안북도 방언입니다. '목기'는 한자 그대로 나무로 된 그릇을 의미합니다. '목구'는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겠지만 작품 속에서는 제사에 사용되는 그릇으로 '제기'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제기는 발로 차는 제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제사 때 쓰는 그릇을 의미합니다. ^^;
그럼 본격적으로 작품 해설에 들어 가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은 길지요. 시 같은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이런 것을 산문적 어조라고 합니다. 줄글의 형태 같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와'나 '~과'를 반복하고, 소재들을 나열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백석의 '목구'의 내용은 목구가 놓인 공간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을 합니다. 그리고 이 목구가 쓰이는 제사에 대한 설명을 하지요. 그리고 제사는 조상과 후손을 교감하게 해주며, 또 조상과 후손의 삶의 애환을 공유하게 해준다고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와'와 '~과'를 반복하여 대상들을 연결하는 의미를 강조한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 작품의 4연에서는 이러한 제사와 목구가 과거의 세대와 현재의 세대, 그리고 미래의 세대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말하면서 작품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집에서 제사를 지내시나요? 제사는 왜 지낸다고 생각하시나요? 조상님들이 오셔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지금의 '나'를 있게 해 준 조상님들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기리고, 또 '나'라는 존재의 뿌리와 정체성을 확인하는 행사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제사가 있기에 비록 함께하지는 않지만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단절되지 않고 공유되고 이어져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토속적, 향토적, 산문적
주제: 세대를 연결하고, 삶의 애환을 공유하는 목구.
특징:
· 제사 풍속의 묘사와 토속어 사용으로 당대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민속학적 자료로 의미가 있음
· 방언과 향토적 소재를 통해 토속적 분위기를 드러냄
· 나열을 통한 열거법을 통해 의미를 강조하고 운율을 형성함
· ‘~와’, ‘~과’를 반복하여 대상 간의 연결을 강조하고 운율을 형성함
구성:
1연: 들지고방에서 오대에 걸쳐 내려온 목구.
2연: 최방등 제사에서 조상과 후손을 교감하게 하는 목구.
3연: 조상과 후손의 삶의 애환을 담는 목구.
4연: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목구.
해제
백석의 ‘목구’는 나무로 만든 제기(祭器)인 ‘목구’를 통해 정주 지역 수원 백 씨 집안의 유구한 내력과 과거,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사물의 영원한 시간성을 노래하고 있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동주, 무서운 시간 해석 해설 (30) | 2022.01.04 |
---|---|
기형도, 식목제 해석 해설 (0) | 2021.12.30 |
강은교, 사랑법 해석 해설 (0) | 2021.12.14 |
곽재구, 절망을 위하여 해석 해설 (0) | 2021.11.22 |
권혁웅, 파문 해석 해설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