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시 정진규 따뜻한 달걀 해설 해석

반응형

정진규의 '따뜻한 달걀'은 따스한 봄이 오기를 경건하게 기다리는 화자의 마음을 갓 나와 온기가 있는 달걀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서 드러내고 있는 작품입니다.

 

정진규의 '따뜻한 달걀' 해설과 해석

정진규의 현대시 작품인 '따뜻한 달걀'에 대한 해석과 해석, 설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2022학년도 고1 3월 모의고사에 출제된 작품인데 상당히 어려운 작품입니다. 고1 모의고사에 이렇게 어려운 작품이 출제가 되어서 사실 좀 놀랬죠.

우선 제목인 '따뜻한 달걀'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제목의 의미를 말씀드리면 작품에 대한 스포가 되는데요. 제 글을 찾아보실 정도면 어느 정도 공부를 하셨을 테니 그냥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이야 달걀이 흔하고 싼 음식 재료이지만, 과거에는 매우 귀한 음식이었습니다. 그리고 갓 나온 달걀은 당연한 이야기지만 따뜻하지요. 작품 속 화자는 이 귀하고 따뜻한 달걀을 통해서 다가오고 있는 '봄'을 느끼고, 또 형상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따뜻한 달걀'처럼 다가오고 있는 '봄'은 소중하고, 또 따스함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지요.

 

작품의 핵심적인 내용은 제목을 설명드리면서 말씀을 드렸으니, 세부적인 내용 설명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작품의 시작은 '우수'입니다. 요즘은 잘 쓰지 않는 표현이기는 한데, 농사를 짓는 일이 가장 중요했던 과거에는 절기를 통해서 계절을 구분하고, 또 농사일의 시기를 정하기도 했지요. '우수'는 봄비가 오기 시작하는 시기를 의미하는 절기로, 봄이 오고 있는 시기입니다. 작품의 계절적 배경이 되지요. 화자는 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1~3행에 드러나는데요. 닷새 간을 기다렸다고 합니다. 이 시간의 흐름을 통해서 화자가 봄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지요.

 

화자는 고향 산 여울의 물소리를 통해서 점차 강해지는 봄의 기운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봄의 기운을 마치 사람처럼 표현하고 있는데, 물소리를 '찰박대며 뛰어 건너는 / 이쁜 발자욱 소리'라는 표현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즉 의인화를 통해서 봄의 기운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죠. 또 '발자욱 소리'라는 표현을 통해서 봄이 오고 있음을 청각적 이미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것이 4~7행까지의 내용이지요.

 

8행과 9행에서 화자는 봄의 기운이 좀 더 강하게 느껴지고 있음을 촉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 새끼발가락 하날 만질 수 있었다'라는 표현으로 그 생각을 드러내고 있지요. 그전까지는 소리로만 인식했던 봄을 만질 수 있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그만큼 봄의 기운이 뚜렷해졌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죠.

 

11행에서는 '그가 왔다'라는 표현을 하고 있는데요. 여기서 '그'는 두 가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달걀입니다. 12~13행에서 화자가 닭장에 가서 갓 나온 따뜻한 달걀을 조심스레 집어 오는 장면이 드러나지요. '그'의 두 번째 의미는 '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봄을 기다리고 계속해서 봄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따뜻한 달걀'을 조심스럽게 쥐고 그 따스한 온기에서 봄을 느끼고 있는 것이지요. 이러한 내용을 통해서 봄이 성큼 다가오고 있음을, 그리고 화자가 봄을 얼마나 귀하게 여기고 조심스럽게 대하는지에 대해서도 드러나지요. 그리고 작품의 마무리는 '경칩이 멀지 않다 하였다'라는 말로 마칩니다. '경칩'은 벌레가 깨어나고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땅 밖으로 나오는 시기로, 우수보다 더 따뜻해지는 시기지요. 따라서 이 구절은 봄이 더욱 뚜렷해질 것을 예감하며, 화자가 자연과 교감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는 부분입니다. 작품의 주제를 정리하면 '소중하고 온기 있는 달걀과도 같은 봄이 오기를 기다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낭만적, 소망적

주제: 봄을 기다리는 마음.

 

특징:

1.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해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드러냄.

2. 자연의 순환적 질서에 대한 기대감을 노래함.

3. 의인화를 통해 자연(봄)을 행위의 주체로 인식함.

4. 동일한 시구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함.

5. ‘따뜻한 달걀’이라는 표현을 통해 다가오는 봄에 대한 화자의 느낌과 태도를 드러냄.

 

구성:

1~13행 : 봄의 기척을 느낌.

14~18행 : 경칩이 다가오기를 기다림.

 

해제

이 글은 봄빛이 뚜렷해지기를 기다리며 자연과 온몸의 감각을 통해 감응하는 화자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봄비가 내리는 절기인 우수를 전후해 화자는 고향의 산 여울을 뛰어 건너는 발자국 소리와도 같은 봄의 기척을 느낀다. 우수로 인한 자연의 변화가 손에 잡힐 듯 다가오자, 화자는 따뜻한 달걀을 꺼내며 개구리가 깨어나는 절기인 경칩이 다가오기를 기대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