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시 이수복 봄비 해석 해설 설명

반응형

이수복의 '봄비' 해석과 해설 및 설명

2025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현대시 작품인 이수복의 '봄비'에 대한 해석과 해설 및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봄에 내리는 비인 '봄비'하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문학적으로는 봄을 알리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새싹을 돋게 하는 비로 생명력을 부여하고, 희망적이고 긍정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대부분이지요. 이 작품에서도 이러한 봄비의 기능을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렇게 긍정적인 봄비를 보며 느끼는 화자의 정서가 일반적이지 않은 것이지요. 사람이 세상을 바라볼 때, 그때 자신의 기분이나 정서가 세상에 대한 관점을 결정할 때가 많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자신의 기분에 따라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이지요. '나'의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 더욱 기분이 좋아지고, 만약 풍경이 좋지 않더라도 그것이 아름답게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나'의 기분이 슬플 때는 풍경이 좋지 않으면 더욱 슬퍼질 것이고, 풍경이 아름다우면 자신의 정서와 아름다운 풍경의 대비로 더 슬퍼질 겁니다. 즉, 작품을 해석할 때 같은 상황이라도 화자가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 또 어떠한 정서를 느끼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아주 먼 옛날 나만 솔로인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어느 날, 그날은 너무나도 날씨가 좋았습니다. 그리고 쌍쌍이 커플들이 다니는 아름다운 모습이 꼴 보기 싫었지요. 저는 그날 큰 외로움과 슬픔을 느꼈지요. 날씨가 너무 좋아서 더 짜증이 났습니다. 아주 옛날 제 경험입니다. 같은 대상을 바라보더라도 화자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따라서 내용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이것을 작품의 주제라고도 할 수 있고요. 작품을 해석할 때 아주 중요한 부분이어서 말이 길어졌습니다. 다시 작품으로 돌아가서 화자는 새 생명을 불어넣는 '봄비'를 보며 슬퍼하고 있습니다. 봄비가 그치면 세상 모든 것은 생명력을 얻게 되지요. 하지만 화자는 임과 이별한 상태로 임을 잃은 상태입니다. 즉, 긍정적인 상태의 세상과 부정적인 화자의 상태를 대비하여 그 슬픔을 부각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 작품 자세히 살펴보면 정말 슬픈데요. 1연 2행을 보면 '내 마음 강나루'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동서양 모두 강을 건너는 것은 이별과 단절, 그리고 생과 사의 경계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작품을 좀 더 살펴보면 알 수 있지만, 작품 속 화자는 임과 사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 '향연'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니까요. 향연은 향이 타며 나는 연기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제사상에 올리지요. 여하튼 봄비가 내리면 화자의 마음은 너무나도 슬플 것이라는 것을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오것다'라는 표현을 통해서 드러내고 있습니다. 풀빛이 짙어지는 것은 봄비를 맞아 성장하는 생명력을 드러내는 것이고, 이렇게 아름다운 세상은 화자의 마음과 대비되며 화자를 더욱 슬프게 하겠지요. 이러한 화자의 마음을 풀에 이입한 표현입니다. 즉 화자의 슬픈 정서를 '감정 이입'을 통해서 드러내고 있는 구절이지요.

이 작품은 의도적으로 호흡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3 음보의 음보율과 7·5조의 음수율을 많이 활용하고 있지요. 이 작품이 전통적이고 민요적이라고 평가받는 이유가 3 음보 율격을 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음보율을 통해서 우리 문학의 전통적 정서인 '한'과 애상감을 더욱 부각하고 있지요. 또 아무래도 호흡이 빨라 빨리 읽는 것보다 천천히 읽히는 것이 더욱 슬프게 와닿잖아요. 4연에서는 땅에서 올라오는 아지랑이를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 같다는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앞서도 말씀을 드렸지만 화자는 아지랑이를 보고 임을 위해 피우는 향 연기를 떠올리고 있습니다. '아지랑이'는 위로 솟구치는 것으로 '풀', '종달새', '꽃' 등과 함께 봄의 소생을 알리는 생명력을 상징하는 소재들로 상승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아지랑이를 향연에 비유하여 화자의 슬픔과 한을 대비적으로 부각하고 있는 것이지요. 정리하면 이 작품의 주제는 '봄비가 내리는 날에 느끼는 애상감과 임과 이별한 슬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립적 이미지, 3 음보 율격, 감정 이입, 각운, 상승의 이미지와 하강의 이미지 활용 등을 활용하여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지요.

 

*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HWP)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문학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연회원제 카페로 지난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자료부터 현재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에 수록된 모든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문제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력이 되지 않아서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4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 현재 2025년 EBS 수능특강 모든 작품 해설 자료 업로드 완료 이용료 안내: 기간에 따라 두 가지 멤버십으로 진행함. * 기간에 따라 두...

cafe.naver.com

 

* 회원 가입과 자료 구입 문의만 카톡으로 받습니다. 문학 작품에 대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지금까지는 웬만하면 답변을 드렸는데, 앞으로는 회원 가입과 자료 구입 문의를 제외한 내용에 대한 카톡 문의는 답변을 드리지 않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늦은 밤, 새벽, 아침을 가리지 않고 심지어 제 자료와는 관련도 없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셔서 저도 사람인지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애상적, 관조적, 민요적, 전통적, 향토적

주제: 봄비가 내리는 날에 느끼는 애상감. 

 

특징:

1. 대립적 이미지를 통해 주제를 전달함.

2. 3 음보의 민요적이고 전통적 율격에 전통적인 한과 애상적 정서를 담음.

3. 감정 이입을 통해서 화자의 슬픔을 부각하고 애상적 분위기 형성.

4. 종결 어미 ‘~것다'의 반복을 통해 그리움과 슬픔을 절제하고 각운을 형성함.

5. 담담한 어조를 통해 애상적 정서를 절제하여 표현함.

6. 상승의 이미지(생명력)와 하강의 이미지(죽음)를 적절히 활용하여 화자의 슬픔을 부각함.

 

이수복-봄비-해설
이수복-봄비-해설

 

구성:

1연: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올 강 언덕.

2연: 종달새 지껄일 보리밭길.

3연: 처녀애들 짝하여 설 고운 꽃밭.

4연: 아지랑이 타오를 땅.

 

해제

이 작품은 곧 다가올 아름다운 봄날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사별한 임에 대한 애잔한 슬픔과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1연에서 화자는 풀빛이 서럽다고 말하는데, 4연에서 그 이유가 나타난다. 봄이 오면 따뜻한 날씨와 함께 아지랑이가 피오를 터이지만, 그 아지랑이는 '임 앞에 타오르는' 향불의 연기와도 같은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