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호승 맹인 부부 가수 해설 해석 설명

반응형

정호승의 '맹인 부부 가수'는 눈을 맞으며 희망을 노래하는 '맹인 부부 가수'를 통해서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정호승의 '맹인 부부 가수' 해설과 해석 및 설명

정호승 시인의 '맹인 부부 가수'에 대한 해설과 해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다른 정호승 시인의 작품들과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상은 눈이 내리는 힘겨운 상황이고, 다른 사람들은 타인에게 관심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화자는 희망을 노래하고 있죠. 즉, 비록 부정적인 현실이지만 긍정적이고 따스한 세상이 오기를 소망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자 중심 소재가 되는 대상은 맹인 부부 가수입니다. 이 맹인 부부는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지요. 그래서 작품의 처음 부분은 이들이 길을 잃었다는 말을 합니다. 심지어 눈이 내리고 사방은 어두워져 가지요. 이러한 배경은 부정적 현실과 함께 시련과 고난을 겪는 맹인 부부의 상황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상황을 '눈사람도 없는 겨울밤'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드러내고 있는데요. 겨울밤은 부정적인 소재, 눈사람은 긍정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지요. 눈사람은 희망과 꿈 등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소재입니다. 여하튼 이러한 부정적인 상황에 맹인 부부는 좌절하지 않고 노래를 부르고 있습니다. 힘겨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죠.

 

이 맹인 부부는 '사랑할 수 없는 것을 사랑하기 위하여 / 용서받을 수 없는 것을 용서하기 위하여' 노래를 부르고 있습니다. 즉, 희망과 사랑, 그리고 용서에 대해서 노래를 부르며 소망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 표현을 잘 보면 사실 말이 안 됩니다. 사랑할 수 없는 것은 사랑할 수 없고, 용서받을 수 없는 것은 용서할 수 없지요. 이렇게 모순된 표현을 통해서 진실을 표현하는 것을 '역설적 표현'이라고 하지요. 이 작품은 역설적 표현을 통해서 주제 의식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맹인 부부들은 자신의 힘겨운 상황에도 다른 사람들을 위로하고 희망을 주는 노래를 부르고 있습니다. '눈 맞으며 어둠 속을 떨며 가는' 힘겨운 사람들에게 노래를 통해서 위로와 희망을 주고 있지요.

이윽고 이 맹인 부부들은 겨울 밤거리의 눈사람이 되었습니다. 이 부분에서 눈사람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을 할 수 있지요. 눈을 맞아서 눈사람처럼 된 부부라고 해석할 수 있고, 또 희망을 노래하는 부부라고도 해석할 수 있지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니 중의법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봄이 와도 녹지 않은 눈사람이 되었네'라는 표현으로 작품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보아 희망을 주는 존재라는 의미가 더 강하지 않을까요?  

 

정호승-맹인부부가수-해설
정호승-맹인부부가수-해설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낭만적, 애상적, 관조적, 성찰적
주제: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그리움과 희망을 잃지 않은 삶

특징:
1.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함.
2. 대비적 소재와 역설적 표현을 통해서 주제를 강조함.
3.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꿈과 희망’을 구체적 사물인 ‘눈사람’으로 드러냄(추상적 관념의 구체화).
4. 반복을 통해서 기다림의 간절함을 부각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