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능 특강 송수권 지리산 뻐꾹새 해설 해석 설명

반응형

송수권의 '지리산 뻐꾹새'는 뻐꾹새라는 자연물을 통해서 우리 민족의 한과 설움, 그리고 그것을 이겨내는 강인한 생명력과 역동하는 힘을 드러낸 작품입니다.

 

송수권의 '지리산 뻐꾹새' 해설과 해석

2025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송수권 시인의 '지리산 뻐꾹새'에 대한 해설과 해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의 중심 소재는 지리산 뻐꾹새의 울음입니다. '뻐꾹새'의 울음은 어딘지 모르게 구슬픈 구석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의 상징으로 자주 활용되곤 하지요. 이 뻐꾹새보다 사실 '접동새', '소쩍새', '두견새' 등이 한의 상징으로 더 유명하긴 합니다.

 

여하튼 이 작품에서 뻐꾹새의 울음은 민중의 한을 상징합니다. 작품에서 대놓고 의미를 드러내고 있으니, 저도 대놓고 설명을 드려야지요. 1연에서 화자는 뻐꾸기의 울음이 우리 민중의 한을 의미한다는 것과, 여러 마리의 뻐꾸기가 우는 줄 알았는데 한 마리의 울음소리가 확산되는 것임을 깨닫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말을 합니다. 뻐꾸기의 울음을 들으며 화자는 점차 우리 민족의 한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지요. 또 우리 민중의 한이라는 것이 어떤 특별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민족 전체의 한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입니다. 그것을 작품에서는 '뻐꾸기 한 마리의 울음소리'로 표현을 한 것이지요.

 

2연에서는 뻐꾸기의 울음 소리가 확산되는 과정을 드러냅니다. 이는 역사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우리 민중들이 동일한 한과 설움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민족적 동질성과 유대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지요. 또 작품에서는 연의 마지막 부분에 '~았다.'로 끝나는 부분이 많은데 이를 통해서 화자의 깨달음을 강조하고 각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죠.

 

3연에서는 울음을 다 토해내고, 설움과 한을 다 쏟아낸 후의 민중들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강'이 있는 곳에 문명이 발생을 했지요. 따라서 강은 역사를 상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작품에서도 강은 역사를 의미합니다. 또 민중들의 울음을 받아주고 달래 주는 공간, 그리고 민중의 생명력과 힘을 보여주는 공간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작품에서 '강이 열리는 것을 보았다'라는 표현을 통해서 한을 극복하고 새로운 민중의 역사가 시작됨을 알리고 있는 것이죠. 또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과 저력을 드러내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4연에서는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요. '남해 군도의 여러 작은 섬을 밀어 올리는 것을 보았다'는 표현에서 '남해 군도의 여러 작은 섬'은 힘없는 민중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밀어 올린다'는 민중들의 강인한 생명력과 힘, 또 새로운 역사적 흐름을 드러내는 구절이라고 할 수 있죠.

 

5연에서는 '한'을 아름답게 승화하는 장면으로 작품을 마무리합니다. '뻐꾹새 울음이 / 이승의 서러운 맨 마지막 빛깔로 남아'라는 표현은 한이 아름답게 승화하는 것을 드러내지요. 표현 상 특징을 보면 공감각적 심상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뻐꾹새 울음은 청각적 이미지인데, 이를 빛깔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했으니까요. 따라서 감각의 전이, 청각의 시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철쭉꽃밭'도 뻐꾹새의 울음으로 표현되는 한이 아름답게 승화되었음을 드러내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송수권-지리산뻐꾹새-해설-1
송수권-지리산뻐꾹새-해설-1

 

수정과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국어자신감'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주소창에 국어자신감이라고 치시거나 제가 걸어둔 링크를 타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송수권-지리산뻐꾹새-해설-2
송수권-지리산뻐꾹새-해설-2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정한적, 상징적
주제: 지리산 뻐꾹새의 울음에서 깨닫게 되는 설움의 정서

특징:
1. 유사한 구절과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서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함.
2. 뻐꾹새의 울음소리가 확산되는 것을 통해서 한의 역사와 민족적 동질성을 드러냄.
3. ‘~았다’의 종결 표현을 반복하여 화자의 깨달음을 드러내고 각운을 형성함.
4. 청각적 이미지, 시각적 이미지, 공감각적 이미지 등을 활용하여 감각적으로 형상화함.
5. 의인화를 통해서 자연물을 통해 민중의 한을 드러냄.
6. 강의 역동적인 모습을 통해서 우리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과 힘을 형상화함.

구성:
1연: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알게 된 뻐꾹새 울음의 진실
2연: 한 마리 뻐꾹새의 울음이 여러 마리의 뻐꾹새의 울음으로 들리는 이유
3연: 뻐꾹새의 울음 끝에 열리는 강
4연: 여러 작은 섬을 밀어 올리는 섬진강의 힘센 물줄기
5연: 울음 끝에 서러운 빛깔로 남아 버린 세석의 철쭉꽃밭

 

해제

이 작품은 지리산 뻐꾹새 울음소리에서 느껴지는 설움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다. 화자는 지리산의 한 곳에서 뻐꾹새가 울음을 토해 내면 그 울음이 봉우리를 울리고 넘어와 섬진강으로 이어지고, 그 섬진강은 다시 남해 군도의 여러 섬을 밀어 올리며, 그 울음이 지리산 세석의 철쭉꽃밭으로도 남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산에서 강, 바다로 이어지는 거대한 산하가 설움으로 가득하다는 것을 화자 자신도 설움에 잠기면서 깨닫게 되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