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사무가 이공본풀이 해설 해석 설명

반응형

서사 무가 작품인 '이공본풀이'는 서천꽃밭을 관장하는 신이 된 할락궁이의 내력을 풀이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무속적 성격을 가진 무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사 무가, '이공본풀이' 해설과 해석 및 설명

서사 무가 작품인 '이공본풀이'에 대한 해설과 해석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의 갈래인 '서사 무가'의 의미부터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이 전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스토리가 있다는 것이지요. '무가(巫歌)'에서 '무(巫)'는 '무속 신앙'이나 '무당'할 때 '무'를 의미합니다. '가(歌)'는 노래를 의미하고요. 즉, 주술적 의미 또는 의식을 할 때 쓰는 노래를 '무가'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서사 무가'는 이야기(스토리)가 있는 무속 신앙과 관련된 노래라는 의미입니다. 작품에 이야기를 담고 있어서 얼핏 보면 노래라는 것이 납득이 되지 않지만, 예전에는 이러한 노래를 부르며 굿을 하는 등 무속적인 제의를 했던 것이죠. 그래서 작품에도 외우고 내용 전달이 쉽도록 '유사한 문장 구조'나 열거, 등의 수법을 활용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비슷한 내용을 반복하여 부르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내용을 숙지하기 좋은 구조로 만들어졌지요.

 

'서사 무가'라는 갈래에 대해서는 대략적으로 설명을 드렸으니 내용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은 주인공인 '할랄궁이'와 주인공의 어머니인 '원강아미', 주인공의 아버지이자 저승의 꽃밭의 관리자인 꽃감관 그리고 주인공을 도와주는 조력자인 '사라도령(원강도령), 그리고 악인인 '천년장자'가 등장을 합니다. 사라도령과 원강아미는 혼인을 하고, 원강아미는 임신을 합니다. 그런데 갑작스레 사라도령이 '서천꽃밭 꽃감관'으로 가게 됩니다. 즉 저승의 꽃을 관리하는 감독관이 되지요. 저승이라는 비현실적인 공간이 이 작품의 주요 배경이 되는 것이죠. 둘은 함께 길을 떠나지만 임신한 원강아미는 함께 갈 수 없게 됩니다. 이에 천년장자의 집에서 살게 되는데 천년장자는 원강아미와 그녀의 아들인 할락궁이를 착취합니다. 그리고 열다섯이 된 할락궁이는 자신의 아버지인 '사라도령'을 찾아갑니다. 천년장자는 원강아미에게 할락궁이가 어디로 갔는지 추궁을 하지만 대답을 하지 않자 원강아미를 죽입니다. 할락궁이가 아버지를 찾아 서천꽃밭으로 갈 때 지나온 물이 바로 이때 흘린 원강아미의 눈물과 피입니다. 사라도령이 이야기를 해주지요. 보지 않고도 모든 상황을 다 알고 있다는 점을 봤을 때 비현실성(전기성)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할락궁이는 사라도령에게 주술의 힘을 지닌 서천의 꽃을 받아 천년장자의 집으로 갑니다. 그리고 천년장자의 일족을 몰살하여 복수를 이루고, 어머니를 되살려 냅니다. 할락궁이가 핏줄인 아버지를 찾고, 어머니의 원수를 갚는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효행 서사시로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내용으로 돌아가서 할락궁이와 원강아미는 서천꽃밭으로 함께 갑니다. 그리고 원강아미는 서천꽃밭의 아이들을 보살피는 저승어멍이 되고, 할락궁이는 아버지의 대를 이어 꽃감관이 됩니다.

 

우선 이 작품에서 할락궁이의 어머니인 '원강아미'의 희생이 두드러지는데요. 이는 지극한 모성애를 나타냄과 동시에 당시에 힘겨운 삶을 살았던 여성들의 삶을 은연중에 드러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천년장자와 할락궁이 모자의 사이를 통해서 계층적 차이로 인한 착취와 갈등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래 서사 무가는 여신 위주의 작품들이 많습니다. 여성의 모성과 관련하여 무속적 내용과 연결을 많이 하곤 하지요. 하지만 이 작품은 남신 중심의 작품이지요. 꽃감관인 사라도령과 할락궁이가 중심이 되는 신이니까요. 또한 아버지에서 아들로 권력이 이동한다는 점에서 부계 중심의 가계 전승 논리와 남성 우위의 성 역할이 드러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수정과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이공본풀이' 자료는 국어 자신감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이공본풀이-해설-1
이공본풀이-해설-1

 

이공본풀이-해설-2
이공본풀이-해설-2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서사 무가(제주도)

성격: 전기성(비현실성), 무속적, 권선징악적

주제: 서천꽃밭을 관장하는 신이 된 할락궁이의 내력.

 

특징:

1. 서천꽃밭을 관장하는 신이 된 할락궁이의 내력을 풀이하고 있는 제주도 지역의 서사 무가임.

2. 아들이 아버지를 찾고 어머니를 위해 복수를 하여 자식의 도리를 했다는 점에서 효행 서사시로 볼 수 있음.

3. 여성의 수난과 계층적 갈등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음.

4. 여신 위주였던 서사 무가가 남신 우위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줌.

5. 부계 중심의 가계 전승 논리와 남성 우위의 사회적 성 역할이 드러남.

6. ‘꽃’이 생명력을 부여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주술적 도구로 활용됨.

 

해제

이 작품은 서천꽃밭을 관장하는 신이 된 할락궁이의 내력을 풀이하고 있는 서사 무가이다. 사라도령이 저승의 서천꽃밭 꽃감관으로 가게 되자, 임신한 몸으로 남편과 헤어진 원강아미는 천년장자의 종이 되고, 할락궁이를 낳아 기른다. 할락궁이가 아버지를 찾아 집을 떠나자 천년장자는 원강아미에게 할락궁이의 행방을 추궁한다. 원강아미는 할락궁이가 간 곳을 말하지 않겠다고 세 번 다짐하고, 이에 천년장자는 원강아미를 죽인다. 한편 서천꽃밭을 찾아가서 아버지 사라도령을 만난 할락궁이는 어머니의 죽음을 알게 된다. 할락궁이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꽃 중 일부로 어머니를 죽인 천년장자에게 복수하고, 나머지 꽃들과 회초리로는 죽은 어머니를 살린다. 이후 할락궁이는 어머니와 함께 서천꽃밭으로 돌아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서천꽃밭의 꽃감관이 된다. 사람을 죽이기도, 살리기도 하는 꽃들이 피어 있는 서천꽃밭을 통해 신화적 상상력을 엿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