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백화'는 삶의 모든 부분이 백화(자작나무)와 관련이 있는 산골 마을의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아름다운 자연과 그와 어우러지는 삶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는 작품입니다.
백석 백화 해설 해석 설명
백석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백화'에 대한 해설과 해석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제목인 '백화'는 흰 자작나무를 의미합니다. 이 작품에서는 '~도 자작나무다'라는 말을 반복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하고 있는데요. 산골집의 대들보도 기둥도 자작나무라는 표현을 통해서 삶의 기본 요소인 집을 구성하는 요소가 자작나무로 이루어져 있다고 강조하고 있지요. 또한 '여우가 우는 산'도 자작나무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여우'는 구미호를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전설과 민담과 관련하여 산골 사람들의 정신적 삶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골 사람들이 먹는 기본적인 음식인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이고, 생존에 필수적 요소인 물을 제공하는 우물도 자작나무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고 있지요.
이러한 열거,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 비슷한 것을 조금씩 바꾸어 반복하는 변주 등을 통해서 산골 사람들의 삶의 모든 부분이 자작나무와 연결된 산골 마을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 이 작품은 'ㅇ, ㄴ, ㅁ'의 울림소리가 반복되어 운율을 형성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자작나무입니다. 이 자작나무를 음운 변동을 감안하여 실제 소리는 [자장나무]로 나지요. 이 시어를 계속해서 반복을 하니 울림소리가 계속해서 반복이 되는 것이지요.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향토적, 토속적, 자연 친화적
제재: 자작나무
주제: 순수한 삶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풍경
특징:
1. 아름다운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예찬적 태도가 드러남.
2. ‘자작나무다’라는 시구를 각 행의 끝에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함.
3.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 변주, 열거 등을 통해 삶의 모든 부분이 자작나무와 연결된 산골 마을의 특징을 드러냄.
4. 울림소리 반복을 통해서 운율을 형성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줌.
해제
‘백화’는 순우리말로 옮기면 ‘흰 자작나무’이다. 이 시는 흰 자작나무에 둘러싸여 있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산속의 세계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순수하고 소박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