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천명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사슴'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 이 작품의 제목을 모르시는 분들과 더불어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 작품인데요. 그 이유는 이 작품의 시작이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린으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지요. 하지만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은 사슴입니다. 그럼 화자가 왜 사슴이 슬픈 짐승이라고 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지요.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노천명 사슴 해설
그럼 노천명 시인의 '사슴'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이런저런 매체에서 인용하여 아주 유명한 작품이기는 하나, 그러한 이유 때문에 우리가 작품이 주는 원래 메시지에 대해서는 더 모르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자는 사슴의 겉모습, 외면과 특징을 통해서 사슴의 고고함과 품위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모가지가 길다'는 것은 높은 곳을 향하고 지향하는 것이니 이상이 높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을 충족하지는 못했나 봅니다 그러니 슬프지요. 그리고 '관이 향기로운 너'라는 표현을 통해서 사슴이 아름다운 뿔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사슴의 뿔은 갓에 빗댄 것이지요. 이 표현을 통해서 사슴이 고귀하고 품위 있는 존재임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관'은 시각적 심상이고, '향기로운'은 후각적 심상이지요. 따라서 공감각적 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각의 전이를 활용했다고 할 수 있고요.
정리하면 사슴은 고귀하고 높은 이상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나 그것을 달성하지 못해 슬픈 존재입니다. 사슴은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는 존재라고 할 수 있지요. 해설서에서 이 사슴이 '감정 이입'의 대상이라고 설명이 나오는데,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감정 이입으로 말하기는 무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화자의 정서가 드러나고 그 정서와 사슴의 정서가 같을 때 감정 이입이 성립하는데 화자의 정서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았거든요. 수능 시험에는 이런 문제가 나오지는 않을 것이고, 만약 내신 시험에 이런 문제가 나온다면 학교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것에 따라서, 상황에 맞게 대응하셔야지요.
2연에서 사슴은 물을 바라보며 자아 성찰을 하고 있습니다. 물은 거울과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자기 자신을 비춰주니까요. 그리고 '잃었던 전설'을 생각해 냅니다. '잃었던 전설'은 과거의 영광, 긍정적이었던 때가 되겠지요. 그리고 향수를 느낍니다. 향수를 느낀다는 것은 잃었던 전설에 대해서 그리움을 느낀다는 것이고, 이 말은 지금의 상황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지요.
여하튼 사슴은 '향수를 느끼며 슬픈 모가지를 하고 / 먼 데 산을 쳐다본다'라는 구절로 작품이 마무리가 됩니다. 이는 상실한 전설에 대한 안타까움을 느끼면서도 전설, 즉 높은 이상을 추구하는 모습을 동시에 드러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지요. 작품의 주제를 정리하면 '사슴을 통해서 이상적인 삶에 대한 추구와 그것을 이루지 못하는 슬픔을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가지가 길어서[이상이 높아서] 슬픈 짐승[사슴]이여,[돈호법, 영탄법]
언제나 점잖은 편 말이 없구나[고고함]
관[갓, 뿔]이 향기로운[공감각적 심상, 감각의 전이] 너[의인화]는
무척 높은 족속[향수의 근원]이었나 보다.
1연: 사슴의 귀족적 품위
물[자아 성찰의 매개체]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보고[내면적 성찰을 위한 자기 응시]
잃었던 전설[화려했던 지난날의 추억, 향수의 근원]을 생각해 내고는
어찌할 수 없는 향수에[이상과 현실의 괴리감]
슬픈 모가지를 하고
먼 데 산[동경과 이상의 세계]을 쳐다본다[향수에 젖은 모습의 시각적 형상화]
2연: 사슴의 고고한 내면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회고적, 감상적, 관조적
주제: 사슴을 통해 성찰하는 고고한 삶의 고독
특징:
1. '사슴'을 의인화하여 화자의 감정을 이입함.
2. 절제된 언어를 통해 감상을 극복함.
해제
이 시는 '사슴'이라는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고고하지만 고독한 화자의 내명을 노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