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영랑 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 해설 해석 설명

반응형

김영랑의 '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는 외로운 처지의 화자가 달이 떠오르기를 간절히 바라며 자연과 교감하는 모습을 담은 작품입니다.

 

김영랑의 '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 해설과 해석

김영랑의 현대시 작품인 '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에 대한 해석과 해설, 설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에 생소한 단어들이 나오는데요. '사개'는 한옥에서 못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의 모서리를 깎아 요철을 끼워 맞추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나무끼리 이음새를 짜 맞춰서 연결을 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뒤틀렸다는 것이지요. 뒤이어 '고풍'이라는 표현이 나오니 오래된 집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고풍'은 예스러운 풍치나 모습을 의미하는 단어이니까요. 이 작품의 의미를 한마디로 정리를 하면 오래된 집의 툇마루에 화자가 앉아 있다는 것이지요. 이것이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이 됩니다. 화자는 아직 떠오를 기척도 없는 '달'을 기다립니다. 그만큼 '달'을 보고 싶었던 것이지요. 어느 정도로 달을 기다렸냐면 '아무런 생각 없이 / 아무런 뜻 없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만큼 달이 떠오르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지요. 달에 집중하며 '무념무상'의 상태에 화자가 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2 연부터는 달이 떠오르면 생성될 풍경을 상상하며 묘사하고 있습니다. 2연 4행의 '깔리우면'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화자가 말하고 있는 내용이 가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3연 4행에 쓰인 '~오리라'라는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표현을 통해서, 화자가 지금 달이 떠오르고 있는 것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달이 떠오르면 이러한 풍경이 될 것이라는 것을 추측하고 상상하여 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제가 이 부분을 강조하는 이유는 이 작품이 '시간의 흐름' 부분에서 착각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의 중심 내용은 달이 떠오르는 모습과 그로 인해 변하는 풍경을 묘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이 드러나지요. 하지만 이것은 실재의 시간은 아닙니다. 화자의 상상 속에서 발생한 사건이자 시간의 흐름입니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 시간의 흐름과 관련된 문제가 나온다면 선택지를 잘 보셔야 합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2연에서는 만약 달이 떠오른다면 풍경이 이럴 것이다라는 화자의 상상이 담겨 있는데요. 정말 환상적으로 묘사를 해놓았습니다. 달이 떠오르고 시간이 흐르는 것을 '감나무 그림자'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달이 뜨니 감나무에 그림자가 생기고 시간이 흐르면서 감나무 그림자의 위치도 바뀌어가는 것이지요. 그런데 달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사뿐'과 '보시시'라는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생동감 있게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보시시'는 '포근하게 살며시'라는 뜻입니다. 말이 참 예쁘지 않나요? '빛깔의 방석'은 달빛으로 생긴 그림자를 의미하고 있지요.

 

3연에서는 화자의 외로운 처지와 달을 얼마나 소중하게 여기는지 잘 나오는데요. 화자는 '내 하나인 외론 벗 / 가냘픈 내 그림자'라는 표현을 씁니다. 우선 화자의 외로운 정서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지요. 친구가 자신 외에는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니까요. 또 나의 그림자를 만든 존재가 달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달'을 친구로 생각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화자는 이러한 그림자와 '말없이 몸짓 없이 서로 맞대고' 있습니다. 이는 화자와 달이 만든 그림자가 하나가 된 상태로, 화자와 달의 교감을 드러내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달과 화자가 하나가 된 듯한 느낌 즉, '물아일체'의 상태인 것이죠. 3연 4행에서는 '이 밤이 옮기는 발짓'이라는 시각적 이미지와 '들려오리라'라는 청각적 이미지를 함께 쓰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공감각적 심상'이 쓰이고 있습니다. 달의 움직임을 시각과 청각을 섞은 공감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죠. 달의 움직임이 중심이 되는 심상이고 들리는 것이 보조적 심상이니 '시각의 청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리라'라는 추측의 종결 어미를 활용하여 여운 형성을 하면서 마무리하고 있는 것도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지요.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서정적, 묘사적, 낭만적

주제: 1. 툇마루에 앉아 지켜보는 달빛과 그림자의 운치. 2. 달을 기다리는 화자의 고독감과 외로움.

 

특징:

1. 화자의 달이 교감하는 모습이 드러남.

2. 가정을 통해서 달의 기다리는 화자의 기대감을 드러냄.

3. 시간의 경과가 가정을 통해서 드러남.

4. 시간의 흐름을 공감각적 표현으로 제시.

5.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서 시간의 흐름을 제시함.

6.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고요 속의 움직임(정중동)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함.

7.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표현(~리라)으로 시상을 종결하여 여운을 형성함.

 

해제

이 글은 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리는 밤의 적막함을 표현하고 있다. 달이 아주 조금씩 떠오르면 감나무 그림자가 고풍의 툇마루에 깔리게 될 것이다. 이 시는 달이 만든 감나무 그림자와 화자의 그림자만 존재하는 정경을 그려내고 있다. 이로써 화자가 대면하게 되는 것은 달이 떠오르기만을 기다리는 외롭고 가냘픈 자신의 모습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