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시습 이생규장전 해석 해설

반응형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수록된 고전 소설 '이생규장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김시습의 '이생규장전'은 2001학년도 수능 시험에 출제가 되었고, 2017년 9월 모평에 출제되었습니다.

참, 한 가지 착각하시면 안 되는 것이 모평은 발행된 연도의 다음 해로 표기가 됩니다.

즉. 2017년 9월 모평은 실제로 2016년 9월에 발행된 시험이라는 것이죠.

혹시 착각하시고, 출제 안 됐는데, 하시면서 저한테 따지시면 안 돼요. ^^

또 2010학년도 수능에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을 때 실제로 이 작품이 이번 수능에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지요.

그래도 중요한 작품은 맞습니다.

교과서에 엄청 많이 수록되는 작품이니 내신 대비를 하셔야죠.

이번에 2023년 EBS 수능특강에는 교과서에 많이 수록된 부분이 수능특강에도 수록이 되었습니다.

지금 해설을 쓰면서도 너무 많이 다룬 내용이라 조금 지겹기도 합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2023년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2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이생규장전, 죽은 뒤에도 계속되는 영원한 사랑

김시습의 '이생규장전'은 금오신화에 수록된 전기 소설입니다.

전기 소설이라는 것은 비현실적인 내용을 담은 소설이라는 것이죠.

우리가 비현실성의 같은 말을 '전기성'이라고 하잖아요. 같은 뜻이죠.

또 명혼 소설이라고도 합니다.

명혼 소설은 사람과 귀신이 사랑하는 이야기를 다룬 소설입니다.

명혼 소설은 예전 중국에서 유행하던 갈래입니다.

그러한 갈래를 이용하여 김시습이 자신의 메시지를 담아 이생규장전을 창작한 것이지요.

제가 어렸을 때 '천녀유혼'이라는 영화를 정말 좋아했습니다.

몇십 번을 봐서, 중국어인데도 대사를 알아들을 정도였죠.

나중에 국어 선생이 되면서 알게 되었죠.

이런 류의 영화들이 과거의 명혼 소설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요.

사실 불가능한 것, 어려운 것을 이룬다는 것은 매력적이잖아요.

원래 사람과 귀신이 이어질 수는 없잖아요.

그럼에도 서로 사랑을 한다는 것이 정말 로맨틱하지 않습니까?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예전에 저도 귀신과의 사랑을 상상했던 적이 있지요.

어릴 때잖아요. 그럴 수도 있지 않나요?

 

https://link.coupang.com/a/mi0Sc

 

유니 시그노 스타일핏트 젤잉크 리필심 UMR-109 0.38mm

COUPANG

www.coupang.com

 

우선 제목인 '이생규장전'의 의미를 살펴보면, 이생이 담을 엿보다는 의미입니다.

이생이 최 씨 여인을 담 너머로 엿보면서, 두 사람의 사랑이 시작되었거든요.

즉, 사랑이 시작된 계기가 되는 것이죠.

이생과 최 씨는 총 세 번의 만남과 이별을 반복합니다.

이생의 담장 너머로 최 씨를 엿본 뒤 편지를 주고받으며 사랑을 나누는 것이 첫 번째 만남입니다.

그러나 이생의 부모가 집안의 차이로 최 씨와의 혼인을 반대하여 첫 번째 이별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 씨가 이생을 그리워하다가 상사병에 걸려 죽을 상황이 되자, 최 씨의 부모가 이생의 부모를 설득하여 둘은 혼인하게 됩니다.

이것이 두 번째 만남이지요.

그렇게 행복하게 살다가, 중국에서 홍건적의 난이 발생을 하고, 홍건적이 고려로 침공하게 되지요.

그때 모두 뿔뿔이 흩어지고, 이생은 혼자 도망가서 살았지만, 최 씨는 죽게 됩니다.

이것이 두 번째 이별이지요.

그리고 죽어서 귀신이 된 최 씨가 이생을 찾아옵니다.

세 번째 만남입니다.

그리고 둘은 행복한 시간을 보내지요.

그러나 이승과 저승의 경계는 명확한 것이지요.

시간이 흘러 최 씨는 저승으로 떠나고, 이생은 시름시름 앓다가 죽게 됩니다.

이것이 세 번째 이별이죠.

시험 문제에 자주 출제되는 포인트 중 하나가 이생과 최 씨의 성격입니다.

이생은 소극적 성격의 인물입니다.

작품을 보다 보면 좀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지요.

홍건적이 난 때도 다른 가족들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심지어 최 씨도 놔두고 도망가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것을 나중에 후회하고 미안해하기는 하지만요.

최 씨는 당시의 시대상을 생각했을 때 아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인물입니다.

우선 남녀 간의 혼인을 부모가 정했던 문화가 지배하던 시기에 본인 스스로 이생을 선택하지요.

또 죽었다가 환신하여 이생과 함께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죽음도 막지 못하는 적극성을 지닌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생규장전'은 유불선 사상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즉, 유교, 불교, 도교의 사상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홍건적의 난으로 인해서 희생된 이생의 부모의 시신을 수습하여 정성스럽게 장사를 지내는 부분에서 유교의 핵심 사상인 '효'를 엿볼 수 있습니다.

또 최 씨가 자신의 정절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선택한 것에서 유교적 절개를 중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 씨는 죽었다가 환생을 하는데 그것은 불교의 윤회설과 관련이 있지요.

그리고 죽었던 최 씨를 다시 살아나게 해준 것은 옥황상제입니다.

옥황상제는 도교 최고의 신이지요.

 

https://link.coupang.com/a/mi0W1

 

아이리버 블루투스 5.0 헤드폰

COUPANG

www.coupang.com

 

학자들은 이 작품을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의 욕구를 막아서는 현실적 한계에 허구와 환상을 통해서라도 극복하려는 작가의 의지가 반영되었다고 해석합니다.

이것은 사실 표현론적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한 것인데, 작가인 김시습은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당대에 인정을 받지 못했지요.

작가의 상황과 인정받고 싶은 욕구를 연결 지어서 작품을 해석한 것입니다.

김시습의 '이생규장전'의 특징을 살펴보면, 만남과 이별의 장면이 반복해서 제시되고, 또 현실과 초현실의 이원적 구성이 드러납니다.

앞서 설명을 드린 유불선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전기적 요소를 통해서 비현실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지요.

또 고사를 사용하여 인물이 처한 상황을 부각하거나, 수록된 부분에는 생략이 되었으나 한시를 삽입하여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작품의 분위기를 조성하며 단조로운 서술 방식을 피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 되겠습니다. 

이밖에 이생규장전과 김시습의 다른 작품들에 대해 알아야 하는 내용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 번 쓴 내용을 다시 쓰면 구글이 싫어해서 그렇습니다.

 

이생규장전

https://blog.naver.com/paso1980/222390114020

 

취유부벽정기

https://blog.naver.com/paso1980/222383726680

 

사청사우

https://blog.naver.com/paso1980/222386525372

 

만복사저포기

https://blog.naver.com/donggu80/221944239425

 

남염부주지

https://blog.naver.com/donggu80/221281024905

 

김시습, 이생규장전 작품 상세 설명

 

김시습_이생규장전_해설_1
김시습_이생규장전_해설_1

 

김시습_이생규장전_해설_2
김시습_이생규장전_해설_2

 

김시습_이생규장전_해설_3
김시습_이생규장전_해설_3

 

 

김시습, 이생규장전 핵심 정리

갈래: 전기(傳奇)소설, 염정(艶情)소설, 한문 소설, 명혼 소설

성격: 전기적, 비극적

연대: 세조 때

출전: 금오신화(金鰲新話)

시점: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이지만, 작가의 작위적 노출이 많이 제거되어 관찰자 시점으로도 보임

주제: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 여인의 정절과 생사를 초월한 영원한 사랑

 

특징:

· 현실과 초현실의 이원적 구성으로 되어 있음

· 만남과 이별의 장면이 반복적으로 제시됨

· 유교, 불교, 도교(유불선)의 사상이 모두 드러남

· 현실의 제도, 전쟁, 운명과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가 드러남

· 죽은 여인과의 사랑을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적 특성이 드러남

· 시를 삽입하여 등장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