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려 가요 쌍화점 현대어 풀이 해설 해석과 설명

반응형

고려 가요 '쌍화점' 해설 해석

이번 시간에는 고려 가요 작품 중 대표적인 '남녀상열지사'로 꼽히는 '쌍화점'에 대한 해석과 해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쌍화점'은 만두집이라는 의미입니다. '쌍화'가 만두라는 뜻이고요. 예전에는 만두집이 남녀가 서로 만날 수 있는 현대의 만남의 장소와 같은 공간이었나 봅니다.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지요. 이 작품의 주제가 남녀 간의 만남과 애정 행각이라서요. 그리고 이 작품의 내용이 상당히 직설적입니다. 원래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고려 가요가 조선 시대에 창작된 시조나 가사와 같은 작품들보다 훨씬 내용이 노골적이고 자유롭지요. 이것은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상을 반영해서 그렇습니다. 조선 시대는 유교적 가치관이 지배했던 사회로 표면적으로 상당히 금욕적이고 절제를 중시했지요. 그러나 고려 시대는 조선 시대에 비해서 상당히 성적으로 자유로웠던 것으로 보입니다. 여성의 권위도 조선 시대에 비해서 높았던 것으로 보이고요. 그래서 고려 시대에는 이렇게 성적으로 좀 노골적인 작품들이 나올 수 있었지요. 그리고 이러한 고려 가요를 후대인 조선 시대에 '남녀상열지사', 즉 남녀 간에 서로 열나는 이야기, 남녀 간의 연애를 노골적으로 표현한 이야기라고 분류하고 없애기도 했습니다. '남녀상열지사'라 해봐야, 성적 표현이 강한 현대의 대중가요 가사에 비하면 택도 없는 수준이지만요.

이 작품의 내용과 지금까지 설명을 드린 것을 바탕으로 다들 짐작을 하셨겠지만 고려 가요의 주요 창작 계층과 향유 계층은 평민이었습니다. 따라서 직설적이고 노골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다수가 있지요. 또 당시에는 한글이 없었기 때문에 글로 남기기가 어려워 고려 가요는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구비, 구전되는 방식으로 후대에 전달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고려 가요를 조선 시대에 궁중 음악의 가사로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체면을 중시했던 당시 양반 사대부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 고려 가요 작품들이 많이 있었겠지요. 이러한 작품들은 아까 말씀을 드린 것처럼 남녀상열지사로 분류하고 불태워버립니다. 쌍화점과 같은 작품은 남아 있는 것이 용하다고 생각할 정도예요. 서경별곡을 없애려고 했습니다. 여자가 투기하는 내용이 나왔다고요. 고려 가요는 궁중 음악의 가사로 활용하면서 한글로 기록에 남기게 됩니다.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악학궤범'과 같은 책들에 기록이 남아 있지요.

쌍화점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시작할게요. 그전에 설명이 너무 길었죠. 갈래에 대해서 알아야 하니까요. 작품 속 화자는 다양한 남자들을 만납니다. 그 대상은 회회 아비로 불리는 외국인(아랍인, 몽골인), 삼장사의 사주, 즉 절의 주지승인 종교적 지도자, 우물의 용으로 불리는 임금, 평범한 백성인 '그 집 아비' 등 다양하지요. 특이한 점은 성적 대상으로서 금기시되는 직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등장한다는 것입니다. 승려나 임금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특이하지요. 또 외국인이 등장을 한다는 점에서 당시에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했음을 짐작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평민과 왕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당시의 자유로운 성 문화가 평민과 상류층 계층과 관련 없이 그러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쌍화점 상세 구절 풀이

쌍화점[공간적 배경, 만두 가게]에 쌍화 사라 가고신댄

회회 아비[외국인] 내 손모글 주여이다[적극적인 구애의 행동]

이 말사미 이 점 밧긔 나명들명[소문이 나면]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삿기 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말하지 말라는 위협]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여음구, 조흥구, 후렴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회회 아비와 함께함]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대 가티 덤거츠니[지저분한 것이] 업다[문란한 행실에 대한 비판]

 

삼장사[절 이름]에 브를 혀라 가고신댄

그 뎔 사쥬[절의 주지]ㅣ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사미 이 뎔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삿기 상좌ㅣ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대 가티 덤거츠니 업다

 

드레 우므레[두레 우물, 왕궁을 의미] 므를 길라 가고신댄

우믓용[정치적 지도자, 왕]이 내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사미 이 우믈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드레바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대 가티 덤거츠니 업다

 

술 팔 지븨[술집] 수를 사라 가고신댄

그 짓 아비[평범한 백성]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사미 이 집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싀구비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대 가티 덤거츠니 업다

 

쌍화점 현대어 풀이

만두집에 만두 사러 갔더니만

회회(아랍인 또는 몽골인) 아비가 내 손목을 주더이다.

이 소문이 이 가게 밖에 나며 들며 하면

조그마한 새끼 광대(심부름하는 아이)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데같이 난잡한 곳 없다.

 

삼장사에 불을 켜러 갔더니만

그 절 주지승이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이 절 밖에 나며 들며 하면

조그마한 새끼 상좌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데같이 난잡한 곳 없다.

 

두레 우물에 물을 길러 갔더니만

우물 용이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이 우물 밖에 나며 들며 하면

조그마한 두레박아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데같이 난잡한 곳 없다.

 

술 파는 집에 술을 사러 갔더니만

그 집 아비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이 집 밖에 나며 들며 하면

조그마한 술 바가지야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데같이 난잡한 곳 없다.

 

*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HWP)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문학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연회원제 카페로 지난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자료부터 현재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에 수록된 모든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문제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력이 되지 않아서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 개별 해설 자료를 구매하실 분은 카카오 오픈 채팅으로 요청하시면 됩니다. 단 자료 구매와 관련된 내용만 상담을 진행합니다. 카톡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늦은 밤, 새벽, 아침을 가리지 않고 심지어 제 자료와는 관련도 없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셔서 저도 사람인지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https://open.kakao.com/o/szzBHFld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고려 가요

성격: 향락적, 퇴폐적

주제: 남녀 간의 자유로운 애정 행각(당시의 문란한 성 윤리에 대한 풍자)

 

화자의 정서와 태도:

1. 남녀 간의 본능적인 욕망의 추구.

2. 퇴폐적인 성윤리에 대한 비판적 태도.

 

형식: 전 4연으로, 각 연이 동일한 구성 형식을 취함.

표현: 상징과 은유를 사용하여 당시의 퇴폐적인 성윤리를 나타냄.

특징: '만전춘', '이상곡'과 함께 고려 가요 중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작.

 

작품에 나타난 사회상: 위로는 왕으로부터 아래로는 평민에 이르기까지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성적으로 문란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음.

1. 1연의 '회회 아비': 아랍인 또는 몽골인으로 볼 때, 당시 고려에 주둔하고 있던 외인부대를 상징함.

2. 2연: '삼장사 사주': 종교적 지도자를 대표하며, 당시의 타락한 불교상을 드러냄.

3. 3연의 '용': 왕을 상징함. 이 작품은 음탕하기로 유명한 충렬왕 때 지어진 것이라고 '고려 사악지'에 기록되어 있음.

4. 4연의 '술집 아비': 평민을 상징함.

 

구성:

1연: 회회 아비와의 밀애.

2연: 절의 주지와의 밀애.

3연: 우물 용(왕)과의 밀애.

4연: 술집 아비와의 밀애.

 

쌍화점-해설-1
쌍화점-해설-1

 

쌍화점-해설-2
쌍화점-해설-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