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미당 서정주는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시인이지요.
서정주가 활동했던 당시에 산문은 춘원 이광수, 운문은 미당 서정주라고 사람들이 말을 했을 정도니까요.
또한 친일 행각을 했던 것이 분명하고 그에 대한 반성을 제대로 하지 않았음에도 서정주의 작품이 교과서에 수록되고 학생들이 배우는 이유는, 서정주의 작품을 빼놓고는 우리나라의 문학사를 논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인 그의 삶을 논외로 두고 작품 자체는 탁월한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입니다. 국어 중, 고등 수업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 국화를 통해서 깨닫는 생명의 신비로움
그럼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를 본격적으로 해설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아주 유명한 작품이지요.
국어를 따로 공부하지 않거나 시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 번쯤은 들어 봤을 만한 작품이니까요.
서정주가 대단한 시인이기는 한 것 같습니다.
작품의 시작은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 봄부터 소쩍새는 / 그렇게 울었나 보다'입니다.
이 구절의 의미는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서 소쩍새를 비롯하여 국화와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무수한 존재들이 도움을 주었다는 내용입니다.
어떤 생명이 탄생하고 자라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전혀 상관없는 것과 같은 무수한 존재들에게 도움을 받고 영향을 받으며 또 주면서 살아간다는 의미겠지요.
모든 존재들은 인연을 맺고 영향을 서로 주고받으며 살아간다는 불교의 연기설이 떠오르는데요.
이것이 어떤 의미인지 제가 좋아하는 커피로 예를 들겠습니다.
우리가 커피 한 잔을 마시기 위해서는 커피를 재배하는 무수한 사람들, 또 그 커피의 껍질을 벗기고, 세척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 커피를 말리고, 볶는 사람들, 그렇게 만들어진 원두를 배송하는 사람들, 그리고 이 원두로 커피를 만드는 사람들과 커피를 판매하는 사람들 등 무수한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우리는 한 잔의 커피를 마시게 됩니다.
즉, 모든 것은 혼자의 힘이 아니라 다양한 존재들에게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지요.
부연 설명을 드리면 모든 것이 관련이 있다는 불교의 연기설과도 맞닿아 있지요.
즉, 이 짧은 구절을 통해서 한 생명이 탄생하는 것이 얼마나 위대한 일이며, 또 그 생명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무수한 존재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내용은 어찌 보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의 거대한 섭리를 이야기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죠.
https://link.coupang.com/a/s3u0x
차이슨무선청소기 NO.9 + 플렉시블호스 + 거치대PACKAGE 2022년형 차이슨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작품의 그다음 꼭지는 국화의 생김새입니다.
화자는 국화를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 국화는 다 보셨지요?
어떻게 생겼나요?
예쁘기는 한데, 뭔가 귀엽다기 보다는 성숙해 보이는 느낌이 있지 않나요?
그리고 사실 국화가 만물이 봄, 여름을 걸쳐 성숙해져서 열매라는 결실을 맺는 가을에 펴서 우리가 더 그렇게 생각을 하는지도 모르겠네요.
이러한 이미지 때문에 화자는 국화를 무수한 시간과 함께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여 지혜와 원숙미를 지니게 된 누님과 닮았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리면 '국화' 즉 생명체에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겪는 무수한 일들에 대한 감정과 지식 그리고 경험을 담고 있다는 것이지요.
이것을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국화를 비롯하여 모든 생명체가 온갖 시련을 이겨내며 살아가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며, 경이로운 일이라는 메시지를 화자가 우리에게 보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의 특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앞서 말씀을 드린대로 연기설을 기초로 하는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는 불교적 세계관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국화꽃이 피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구성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생명이 탄생의 고통을 표현하고 이것을 견디며 이겨내는 경이로움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서정주, 국화 옆에서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상징적, 불교적
주제: 고뇌와 시련을 거쳐 도달한 생의 원숙한 아름다움, 생명 탄생의 위대함
특징:
1. 자연물을 통해 인간의 삶을 형상화.
2. 불교적 세계관을 보이고 있음.
3.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성을 통해 생명 탄생의 고통을 효과적으로 표현. (기, 승, 전, 결의 4단 구성)
서정주, 국화 옆에서 해제
이 시는 ‘국화’의 개화라는 자연현상을 인간과 연관 지어 표현하고 있는 작품으로, ‘국화’는 인생의 원숙한 아름다움을 상징함
서정주, 국화 옆에서 상세 설명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