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용운, 님의 침묵(임의 침묵) 해설

반응형

한용운 시인의 현대시 '님의 침묵(임의 침묵)'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랑하는 임이 나와 정답게 대화를 나누지 않고 침묵만 하는 상황은 결코 긍정적인 상황이 아니겠지요. 함께 임이 침묵하는 상황이 과연 어떤 상황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시죠.

 

한용운, 님의 침묵(임의 침묵) 해설

한용운 작가의 '님의 침묵'에 대한 본격적인 해설을 시작할게요. 이 작품은 작품 전반에서 부드럽고 섬세한 태도를 보이며 여성적 어조를 잘 활용한 작품입니다. 여성적 어조를 잘 활용하는 것이 한용운 시인의 특징과 장기 중에 하나이지요.

우선 제목부터 설명을 드리면, 사랑을 속삭여야 할 '임'이 침묵을 한다는 것은 부정적 상황인 것이지요. 그럼 침묵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서로 사랑하는 사이에 말을 안 할 수가 있을까요? 

결국 함께 있지 않는 이별의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화자는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믿었는데 뜻하지 않게 이별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슬픔을 슬픔으로만 두면, 사랑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별의 슬픔을 희망으로 바꾸고 임을 영원히 사랑하여 이 슬픔을 극복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시험 문제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성적 어조의 기능, 역설법, 화자 해석입니다.

한용운 시는 기본적으로 화자를 어떻게 해석하는가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지요.

첫째, 화자가 여인일 때, 이렇게 되면 임은 사랑하는 남성이 되겠지요.

둘째, 화자가 승려일 때, 이 때는 임이 깨달음이나 부처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셋째, 화자가 독립 운동가 일 때, 이때는 임이 조국 광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작품은 너무나 유명학 작품이기에 정말 꼼꼼하게 공부하는 것이 필요한 작품입니다.

문제가 정말 세부적인 것에서 나오니까요.

 

한용운_님의 침묵

[사랑하는 대상(조국, 연인, 진리)] 은 갔습니다. 아아 [영탄법] ,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이별을 자각, 반복을 통한 정서 강화] → 여성적 어조(경어체): 화자의 간절한 마음 부각, 각운(운율 형성)

푸른 산빛 [밝음, 희망(여름)] 을 깨치고 [↔ 대조] 단풍나무 숲 [쇠락, 절망(가을)] 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 임이 떠나고 싶어서 떠난 것이 아님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서 [영원한 사랑의 약속]는 차디찬 티끌 [덧없고 보잘것없는 것]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 [허무, 의미 없는 것]에 날아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 [임과 사랑에 빠진 순간, 깨달음의 순간(감각적)]은 나의 운명의 지침 [삶의 방향]을 돌려 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1~4행(기): 임과의 이별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임에 대한 지극한 사랑(임의 절대성), 역설법, 대구법]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임과 갑작스러운 이별로 인한 충격과 슬픔]

5~6행(승): 이별 후의 슬픔

그러나 [시상 전환(슬픔→극복)]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난 것 [이별했다는 이유로 쓸데없이 눈물만 흘리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 [‘정수리’의 방언]에 들어부었습니다.) → 슬픔을 새로운 희망으로 전환함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 [이별에 대한 염려 – 회자정리]과 같이, 떠날 때 다시 만날 것 [재회에 대한 믿음- 거자필반]을 믿습니다.

7~8행(전): 슬픔을 극복한 새로운 희망

아아 [영탄법],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역설적으로 표현(역설법)]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 [임에 대한 간절한 사랑과 믿음]는 님의 침묵 [현실–임의 부재]을 휩싸고 돕니다. [부정적 현실 극복 의지]

9~10행(결): 영원한 사랑의 다짐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문학 작품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입니다. 국어 중, 고등 수업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상징적, 의지적, 여성적

운율: 내재율

주제: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특징:

연가풍의 여성적 어조로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표현.

역설적 표현을 통해 주제 의식을 강조.

불교의 윤회설과 공(空) 사상에 바탕을 둠.

경어체를 사용하여 애절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형성.

대조적 시어를 사용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가치 강조.

 

구성:

구성:

1~4행(기): 임과의 이별.

5~6행(승): 이별 후의 슬픔.

7~8행(전): 슬픔을 극복한 새로운 희망.

9~10행(결): 영원한 사랑의 다짐.

 

해제

이 작품에서 화자는 이별의 슬픔을 극복하고 슬픔을 희망으로 전환하여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화자는 대조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임과의 이별 상황을 제시하며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이별은 화자에게 갑작스러운 일이었고 그러므로 화자는 슬픔과 고통으로 힘들어한다. 그러나 화자는 이별을 슬픔으로만 받아들이는 것이 사랑을 위한 올바른 태도가 아님을 깨닫고, 슬픔을 희망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러한 화자의 생각이 역설적 표현과 경어체 문장의 사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다.

 

한용운 작가 소개

한용운(1879~1944): 만해는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 운동가이며 본관은 청주이다. 불교를 통한 언론, 교육 활동을 하였다.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 참여를 주장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대안점으로 ‘불교사회개혁론’을 주장했다.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을 추가, 보완하였다. 또한 옥중에서 '조선 독립의 서'를 지어 독립과 자유를 주장하였다.

 

한용운-님의침묵-해설
한용운, 님의 침묵 해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