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한글 소설 김만중의 '사씨남정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엄청 유명하죠.
내신 교과서에도 많이 수록되었고, 수능과 모의고사에도 많이 출제가 되었습니다.
수능에는 1998학년도, 2008학년도, 2018학년도에 출제되었습니다.
모의고사에는 평가원 모의고사에만 2006학년도 9월 모평, 2007학년도 6월 모평, 2014학년도 6월 모평에 출제가 되었습니다.
정말 많이 출제가 되었지요.
아무래도 너무 많이 출제가 되었고, 출제가 된 지도 오래되지 않았지요.
따라서 수능에 출제될 가능성은 아무래도 떨어지는 작품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작품이고, 혹시 모르니 열심히 공부해 두시고요.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2023년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2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사씨남정기, 축첩 제도와 가부장제를 비판함
김만중의 '사씨남정기'는 한글 소설이며 가정 소설이고 또 풍간 소설입니다.
풍간 소설이라는 것은 완곡한 표현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조언하는 소설을 의미합니다.
즉, 당시의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풍자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이 작품은 작품의 기본적인 내용과 함께 작품과 당시의 시대상을 연결 지어서 알고 계셔야 합니다.
이 작품의 내용은 단순합니다.
현모양처의 전형인 착한 사 씨가 악인의 전형인 첩 교 씨에게 모함을 받아서, 집에서 쫓겨나고 온갖 고난을 겪다가 결백이 밝혀져, 사 씨는 다시 집으로 돌아오고 교 씨는 처벌을 받는다는 전형적인 권선징악, 사필귀정을 보여주고 있는 소설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Gr9wQ
보스 QC45 무선 헤드폰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러한 내용에는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들이 있는데 이것은 바로 축첩 제도와 가부장제입니다.
본처와 첩의 갈등은 왜 일어날까요?
당연히 부인을 여러 명을 두었기 때문이지요.
당시의 축첩 제도를 은근히 비판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당시의 가부장제도는 장남 또는 선정된 후계자가 가문의 모든 것을 갖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그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죠.
사 씨와 교 씨의 갈등이 이렇게 심해진 것은 후계자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사 씨는 결혼을 하고도 오랜 기간 동안 아이를 낳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첩인 교 씨가 필요했던 거죠.
그리고 첩인 교 씨가 아들을 낳게 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시기와 비슷하게 사 씨도 아들을 낳게 되었다는 거죠.
이런 상황이다 보니 자신의 입지가 줄어들 것은 걱정한 교 씨가 사 씨를 모함하고 죽이려 했던 것이고요.
심지어 이 과정에서 교 씨는 자신의 아들을 죽이는 패륜까지도 저지르게 됩니다.
그다음에 자신의 남편도 모함해서 귀양을 보내고요.
사실 고전 소설 중 가정 소설에 등장하는 내용은 아침에 나오는 자극적인 내용의 막장 드라마는 저리 가라 할 정도로 그 내용이 엄청납니다.
뭐 그런 일이 흔하지는 않았겠지만, 집안의 윤리와 그 권한이 지금의 상상을 초월하던 시기였으니까요.
가문의 명예와 체면을 위해서라면 사람을 해하는 일도 서슴지 않고 했던 시기기도 했고요.
'사씨남정기'라는 제목의 의미가 주인공인 사 씨가 남쪽으로 쫓겨 가는(남정) 기록이라는 의미입니다.
제목을 통해서 가족 간의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는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지요.
이 작품이 중요한 이유는 재미와 교훈을 동시에 잡았다는 것입니다.
치밀한 설정에 개연성도 뛰어나며 또 자극적인 내용이기에 재미는 말할 것도 없고, 사 씨와 교 씨의 대비를 통해서 부녀자가 갖추어야 할 유교적 덕목을 강조하고 있어서 한글 소설임에도 당시 양반들에게 훌륭한 평가를 받았었죠.
이것은 제 추측이긴 하지만, 사실 작가인 김만중이 진짜로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은 축첩 제도와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당시 왕실에 대한 비판과 풍간이었을 겁니다.
사실 상황이 딱딱 맞아떨어지죠.
사 씨는 인현 왕후를 상징하며, 남편인 유연수는 숙종을 의미, 교 씨는 숙종이 총애했던 희빈 장 씨, 즉 장옥정이죠.
희빈 장 씨의 모함으로 인해 숙종이 본처인 인현 왕후를 폐위하고 유배 보낸 당시의 부당한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려는 목적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너무나 직설적으로 비판하면 위험하니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우회해서 표현한 것이고요.
이것이 바로 풍자의 효과지요.
우회적으로 돌려서 비판하는 풍자의 수법을 사용하면 그 비판의 대상도 자신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것이 나를 이야기하는 건가?' 하면서 처벌하기에는 체면이 너무나 깎이니까 그냥 놔두는 거죠.
풍자의 대상들이 뻔히 자신을 욕하는 것을 알면서도 놔두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그 사람들이 바보라서 그런 것이 아니고요.
또 이 작품이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의 가정 소설의 효시로 평가받는다는 것입니다.
효시는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후 가정 소설들이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창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인물의 공간 이동에 따라서 서사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인물들이 어떤 곳에 위치하느냐가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요.
예를 들면 사 씨가 유연수 가문에 있느냐 아니면 쫓겨나서 시아버지의 무덤가에 있느냐는 그 인물의 처지를 단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되니까요.
이것과 연관되어 인물들의 변화된 처지를 대비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지요.
사 씨와 교 씨의 상황 변화처럼요.
이 외에도 앞서 말씀을 드린 것처럼 당시의 왕실 상황을 풍자하기 위해서 작품이 쓰였다는 점, 또 전체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순행적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시간이 역순행적 구성을 보인다는 것도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김만중, 사씨남정기 작품 상세 설명
김만중, 사씨남정기 핵심 정리
갈래: 고전 소설(한글 소설, 가정 소설, 풍간 소설)
성격: 가정적, 교훈적, 풍간적
제재: 처첩 간의 갈등
주제: 처첩 간의 갈등과 권선징악(사필귀정)
특징:
1. 숙종이 인현 왕후를 폐위한 사건을 풍간하기 위해 쓴 일종의 목적 소설임.
2. 전체적으로 추보식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일부에서는 시간의 역행적 구성이 보임.
3. 배경 묘사를 통해 공간의 특성을 드러냄.
4. 인물의 공간 이동에 따라 서사를 전개함.
5. 인물들의 변화된 처지를 대비적으로 제시함.
6. 인물의 행위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근거가 제시됨.
의의:
1. 일부다처제와 처첩 간의 갈등을 소재로 한 최초의 가정 소설로, 후대 가정 소설의 모범이 됨.
2. 조선조 장편 소설 창작의 밑거름이 됨.
김만중, 사씨남정기 전체 줄거리
한림 유연수는 현숙한 여인 사 씨와 결혼하고 행복한 부부 생활을 하지만 늦도록 자식을 얻지 못한다.
이를 염려한 사 씨의 권유로 유연수는 교 씨를 첩으로 들인다.
교 씨는 아들 장주를 낳고 뒤이어 사 씨도 아들 인아를 낳는다.
첩으로서 불안을 느낀 교 씨는 동청, 냉진 등 악한들과 공모해 사 씨가 부정(不貞)을 저질렀다고 모함하고 교 씨의 말에 속은 한림은 사 씨를 내치고 교 씨를 정실로 삼는다.
집안에서 쫓겨난 사 씨는 숱한 시련을 겪고 산사에 거한다. 한림은 승상인 엄숭과 갈등을 빚게 되는데 때를 노린 동청의 무고(誣告)로 한림은 유배를 당한다.
동청과 교 씨는 간통하고 온갖 악행을 저지르며 백성들을 괴롭힌다.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에 돌아온 유연수는 사 씨의 행방을 찾아 나서고, 남편에 대한 소식을 들은 사 씨는 산사에서 나와 남편을 찾아 나선 도중에 두 사람은 재회한다.
유연수는 사 씨에게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사과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간악한 교 씨를 처형하고 사 씨를 다시 정실로 맞아 행복한 삶을 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