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잡가인 '유산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내용 자체는 단순합니다.
이해하기 어렵지 않고요.
다만 한자어가 너무 많이 쓰여서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작품은 너무 세부적으로 공부를 안 하셔도 됩니다.
적당히 내용을 파악하시면 되는 것이죠.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2023년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2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수능특강, 유산가 해석 해설
이번 시간에는 잡가인 '유산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제목인 '유산가'는 산에서 유람을 즐기는 노래라는 의미입니다. 유산가의 내용 자체가 제목 안에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자연을 즐기는 노래입니다.
작품 속에 이런저런 정서가 섞여 있지만 결국은 삶이라는 것은 유한하여 언젠가는 죽으니 현재를 충실하게
즐기라는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지금같이 인터넷도 스마트폰도, 여러 유흥 거리들도 없었으니 작품 속 유흥의 대상은 아름다운 자연입니다.
뭔가 건전한 것 같으면서도 아닌 것 같은 오묘함이 있죠?
따라서 자연 친화적이고 향락적입니다.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는데 선비들이 썼던 작품들과 다르게 자연의 위대함과 깨끗함에 감탄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단순히 즐기는 대상, 유흥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지요.
이것이 유산가의 핵심적인 내용과 생각입니다.
간단하지요?
그런데 우리가 유산가를 공부할 때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한자어가 너무 많이 사용되고 고사 인용이 많아서 내용 파악이 어렵거든요.
이러한 작품을 볼 때 팁을 알려드리면 아주 세세한 내용 파악이 필요 없습니다.
그냥 대략적인 내용 파악이면 충분합니다.
또한 가창되었던 잡가의 특징 상 내용이 다른 이본이 많기도 하고요.
말이 나온 김에 유산가의 갈래인 '잡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잡가는 말 그대로 여러 내용을 섞어서 만든 노래입니다.
전문적인 소리꾼이 노래를 불렀던, 즉 가창이 되었던 갈래입니다.
따라서 판소리와 비슷하게 이본이 많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요.
또한 한자어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한자어가 우리에게는 어렵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흔한 말들이었지요.
이러한 것을 상투적 한자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잡가'가 서민들이 즐기는 하층 문학이면서도 양반들이 즐기는 상층 문학을 모방하고 지향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중국의 고사나 한시의 구절 등을 활용하는 부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음성 상징어인 의성어, 의태어를 포함하여 순우리말 또한 사용하여 문학적 아름다운을 형성하고 있지요.
형태적으로는 4음보, 3·4조 또는 4·4조의 음수율을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운율과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리듬감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가창할 수 있는 것이지요. 물론 이 형태가 깨진 부분들도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수정과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문학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고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유산가 핵심 정리
갈래: 잡가.
성격: 감각적, 묘사적, 예찬적, 풍류적, 서정적.
주제: 봄 경치의 아름다움.
특징:
· 4·4조, 4음보를 토대로 한 가사체이나 파격이 심함.
· 상투적인 한자어(한시 구절, 중국 고사 포함)를 많이 사용함.
· 의성어 · 의태어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생동감과 운율을 형성하며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림.
· 화자가 자연의 조화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우아미를 드러냄.
구성:
서사: 봄 경치 구경 권유.
본사: 봄 경치 완상.
결사: 무궁한 경개 예찬.
유산가 현대어 풀이
봄이 오니 꽃이 활짝 피어 성에 가득하고, 만물이 나서 자라는구나. /
때 좋다. 벗님네야, 산천 경치 구경 가세. /
대지팡이와 짚신, 한 개의 표주박(간편한 차림)으로 천 리 강산을 들어가니, /
온 산에 가득한 꽃과 풀들은 일 년에 한 번씩 다시 피어 /
봄빛을 자랑하느라 색색이 붉었는데 /
푸른 소나무와 대나무는 울창하고, 아름다운 꽃과 풀들이 활짝 피어 화려한 중에 /
꽃 속에 잠든 나비 자취 없어 날아다닌다. /
버드나무 위에 나는 꾀꼬리는 여러 개의 금 조각이요, 꽃 사이에서 춤추는 나비는 어지러이 날리는 눈송이라 /
봄의 석 달, 좋은 계절이 좋을시고, 복숭아꽃이 만발하여 여기저기 붉구나 /
고기잡이배를 타고 물을 따라가며 봄을 즐기니, 무릉도원이 여기 아니냐 /
버드나무 가느다란 가지들이 실처럼 늘어지니, 황산의 골짜기 안에서 봄을 맞으니 도연명의 오류촌이 여기가 아니냐 /
제비는 물을 차고, 기러기 무리 지어 / 공중에 높이 떠 두 날개 활짝 펄펄 /
흰 구름 사이에 높이 떠서 천 리 강산 머나먼 길에 /
어이 갈꼬 슬피 운다. /
먼 산은 첩첩, 태산(큰 산)은 주춤, 기이한 바위는 층층, 큰 소나무는 낙락(가지가 축축 늘어진 모습) /
응어리 구부러져 사나운 바람에 흥에 겨워 /
우쭐 활활 춤을 춘다 /
험한 바위가 겹겹으로 쌓인 낭떠러지(층암절벽) 위에 폭포수는 콸콸, 수정으로 만든 발을 드리운 듯 /
이 골짜기 물이 주루룩, 저 골짜기 물이 솰솰 /
열의 열 골 물이 한데 합쳐져 / 천방지방으로 솟구치고 평평하게 펴지고 /
길게 늘어지고 방울져, 저 건너 병풍같이 둘러선 바위로 /
으르렁 콸콸 흐르는 물결이 은과 옥같이 흩어지니 /
소부 허유가 세상과 단절하고 지내던 기산 영수가 여기 아니겠느냐 /
주걱새 울음소리는 천고의 절개요, 소쩍새의 울음소리는 한 해의 풍년이라 /
일출이 저녁놀이 되는 것이 눈앞에 펼쳐졌으니 경치가 끝이 없이 좋을시고 /
유산가 해제
이 작품은 조선 말기에 도시의 유흥 공간에서 널리 가창되며 유행했던 12 잡가의 하나로, 봄날의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하고 있다. 네 마디 율격의 연속을 기반으로 한 점으로 보아 가사 갈래에서 영향을 받은 잡가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음성 상징어의 활용으로 생동감을 더한 점, 대구나 열거, 비유와 같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표현의 효과를 높인 점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잡가 갈래의 특징
‘유산가’는 조선 말기에 도시의 유흥 공간이 확대되면서 주로 신분이 낮은 직업적 가객들이 창작하여 가창하고 전승한 노래들을 통칭하는 ‘잡가’ 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도시의 신흥 상공인 계층이 잡가를 듣고 즐기다가 점차 서민과 상류 양반층으로까지 잡가의 향유층이 확대되면서 언어 사용 양상도 변화하였다. 형식의 측면에서 볼 때 잡가는 시조, 가사, 판소리, 민요 등 다양한 갈래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는 작품들이 있다. 예컨대 네 마디 율격이 연속되는 잡가는 가사에 뿌리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잡가는 대중적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소재로 삼았기에, 내용이 매우 다양하며 전반적으로 세속적이고 쾌락적인 경향을 띤다고 할 수 있다.
유산가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