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삼 시인의 '수정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제목을 그대로 해석을 하면 수정에 대한 노래라는 뜻이지요.
'수정'은 크리스탈로 보석의 한 종류입니다.
이 작품에서 수정은 깨끗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가지고 있는 존재의 마음을 의미하지요.
그럼 누구의 마음일까요?
바로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에 등장하는 성춘향의 순수하고 아름다운 마음입니다.
그럼 함께 수정가를 세세하게 살펴보도록 할까요?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2022년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2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2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박재삼의 수정가, 이몽룡을 향한 춘향의 순수함 마음
그럼 2020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박재삼의 '수정가'에 대한 해설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을 모티프로 하여 만들어졌습니다.
모두들 춘향전은 잘 알고 계시지요?
이몽룡과 성춘향의 사랑과 이별, 그리고 변 사또라는 탐관오리의 탄압에도 정절을 지키며 몽룡을 기다렸던 춘향의 절개, 그리고 암행어사가 되어 돌아온 몽룡이 변 사또를 비롯하여 탐관오리들을 처벌하고, 춘향과 재회하여 사랑을 이루었다는 이야기죠.
오늘 설명을 드리는 '수정가'는 춘향전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이몽룡을 기다리는 춘향의 간절한 그리움, 그리고 몽룡을 향한 춘향의 순수한 마음과 사랑을 형상화한 '시' 작품입니다.
이 작품 맨 마지막을 살펴보면 '춘향은 바람에 어울린 수정빛 임자'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즉, 춘향은 수정과 같이 말고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존재라는 의미지요.
또한 이것은 몽룡을 향한 춘향의 변함없는 사랑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제목인 '수정가'는 순수하고 맑은 춘향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지요.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을 드렸고, 이제 수정가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은 얼핏 보기에 시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내용이 길지요.
이렇게 산문 같아 보이는 시를 산문시라고 합니다.
또는 산문적 어조라고도 하지요.
이러한 작품을 보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가르치시는 선생님에 따라서 산문시라고 하시는 분도 있고, 아니라고 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그 이유는 학자들이나 교과서에 따라서 산문시에 대한 정의를 다르게 내리기 때문인데요.
산문시에 대한 정의가 행 구분을 하지 않으면 산문시라고 하는 책이 있고, 또 다른 견해는 행 구분뿐만 아니라 연 구분도 하지 않아야 산문시라고 하는 정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신 시험을 준비할 때는 가르치시는 선생님의 말씀에 따르면 되고, 또 위험을 감수하지 않기 위해 산문적 어조라고 생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 다른 특징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춘향전을 모티프로 하여, 사랑과 이별에 대한 전통적인 정서와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ㄹ레'와 같이 예스러운 말투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지요.
https://link.coupang.com/a/tAXfV
삼성전자 그랑데 건조기 DV17T8520BV 17kg 방문설치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박재삼, 수정가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산문시
성격: 전통적, 애상적
주제: 임에 대한 춘향의 순수한 마음과 그리움
특징:
· ‘춘향전’에서 시적 발상을 빌려 사랑과 이별에 대한 전통적이면서도 낭만적 정조를 형상화함.
· 예스러운 어투(~ㄹ레)를 통해 단아하고 고전적인 미의식을 보여 줌.
· 맑고 순수한 이미지의 시어를 통해 춘향의 마음을 표현함.
· 산문적 어조이면서도 종결 어미의 반복으로 운율감을 형성함.
구성:
1연: 춘향의 순수한 마음.
2연: 춘향의 애틋한 그리움과 한.
박재삼, 수정가 중심 소재 설명
· 우물집의 의미: 춘향, 춘향의 순수한 마음
이 시는 춘향의 마음을 '정화수' 잔잔한 위에 아침마다 새로 생기는 물방울의 신선한 우물집’에 비유하고 있다.
맑고 깨끗한 정화수에 새로 생기는 물방울이니 그보다 더한 순수함은 없을 것이다.
그 순수함이 바로 ‘춘향’의 마음이며, 그런 맑고 깨끗한 물을 가진 ‘우물집’이 ‘춘향’인 것이다.
· ‘바람’의 의미: 서방님(이몽룡)
우물에 부는 바람은 잔물결을 일으키게 마련이므로 물인 ‘춘향’은 바람인 ‘서방님’ 옆에서 ‘순순한 스러지는’, 즉 애틋한 사랑을 갖고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박재삼, 수정가 해제
1.
이 시는 고전 소설 ‘춘향전’에서 소재를 취하여 이몽룡을 향한 춘향의 순수한 마음과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이다.
2.
이 시는 박재삼의 첫 시집인 ‘춘향이 마음’에 실린 연작시 중 하나이다.
전통 문학 ‘춘향전’의 내용을 차용하고 있는데, 특히 춘향의 ‘서방님’을 향한 간절한 마음을 가장 잘 형상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행의 길이가 긴 산문시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을레’, ‘~을까나’와 같은 종결형의 반복을 통해 춘향의 마음을 헤아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동시에 감각적인 이미지를 동원하여 춘향의 내면을 섬세하게 그려 내고 있다.
박재삼, 수정가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석, 산곡-함주시초 5 해석 해설 (0) | 2022.04.11 |
---|---|
김소월,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해석 해설 (1) | 2022.04.10 |
윤동주, 무서운 시간 해석 해설 (30) | 2022.01.04 |
기형도, 식목제 해석 해설 (0) | 2021.12.30 |
백석, 목구 해석 해설 (0) | 202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