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희 시인의 대표적인 페미니즘적 현대시인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요즘 성별 이슈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구도가 펼쳐져서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부담이 되지만, 이 작품은 지금이 아니라 여성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사회적으로 강요했던 시대를 배경으로 쓰인 작품입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을 생각하면서 이 작품을 보시면 좋겠네요.
이러한 작품에서 늘 말씀을 드리는 것이지만 남녀는 적이 아닙니다.
함께하는 존재입니다.
가깝게는 우리 가족 구성원이고, 또 한 사회를 함께 이루는 동반자이지요.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해설 해석
오늘은 올해 수능특강에도 수록된 고정희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여러 교과서에 나온 유명한 작품이지요.
제목은 항상 주제를 압축해서 보여줍니다.
이 작품에서 제목인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분석하면 우리 동네에 사는 구자명 씨라는 의미가 되니까 구자명 씨는 우리 주변에서 사는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이 되겠지요.
구자명 씨는 맞벌이를 하는 여성입니다.
그런데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집안일과 육아, 그리고 시어머니 시중도 들어야 하는 힘겨운 삶을 살고 있지요.
정리하면, 너무나 힘겨운 삶을 살고 있는 여성들이 우리 주변에 많이, 또 흔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이러한 삶은 여성에게 너무나 큰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이러한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적 시스템과 문화와 관습을 비판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작품을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보면, 구자명 씨를 '부처님', '팬지꽃', '안개꽃' 에 비유하여 그녀의 처지를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부처님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인내이지요.
이러한 비유를 통해서 우리는 구자명 씨가 힘겨운 상황을 참아 내는 인내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팬지꽃', '안개꽃'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이렇게 힘겨운 생활을 하지만 구자명 씨는 약한 존재라는 것을, 또 다른 존재(가족)를 부각해주기 위해 자신의 삶은 포기해야 하는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고 있지요.
또 9행에는 '행간 걸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행간 걸침이란 의도적으로 행 배열을 바꿔서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표현을 하면, 우선 독자들은 내용과 시행의 배열이 어울리지 않으므로 이질감을 느끼고 집중하게 됩니다.
또한 행간 걸침을 사용하여 쓴 시어는 행간 걸침이 이루어진 행과 원래 시어가 들어가야 하는 행에 모두 그 의미가 영향을 미치게 되지요.
말로 설명하면 간단한데 글로 설명을 하려니 힘드네요.
이밖에도 중요한 부분들이 많은데 아래 해설에 잘 나와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2023년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입니다. 국어 중, 고등 수업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현실 비판적, 페미니즘적
주제:
여성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
특징:
○ 비유적인 표현(부처님, 팬지꽃, 안개꽃)으로 대상의 처지를 나타냄
○ 대상의 처지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공감을 획득함
○ 개인의 모습을 보편적인 모습으로 확장(구자명 씨 → 여자)하면서 주제 의식을 드러냄
○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서 운율 형성, 여성의 힘겨운 삶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강조
구성:
1~7행: 출근길에 버스 안에서 졸고 있는 구자명 씨
8~16행: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삶을 사는 구자명 씨
17~24행: 여성의 희생으로 유지되는 가정의 모습에 대한 비판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해제
구자명 시인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맞벌이 부부의 여성이 자신을 희생하며 사는 모습을 통해 여성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는 작품이다.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