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철, 사미인곡 해설

반응형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인 '사미인곡'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임금에 대한 충정을 여성이 사랑하는 남성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는 전형적인 양반 가사이지요.

정철의 작품은 문학성이 뛰어나고 고전 문학에서 대체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시 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요. 다른 작가들의 작품은 보통 수능에 한 번 출제되면 다시 출제될 가능성이 상당히 낮은데 반해, 정철의 작품은 계속 중요합니다. 또 내신에도 자주 등장을 하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열심히 공부를 해두셔야겠지요.

 

정철의 사미인곡, 여인이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형식으로 임금에게 충을 노래하다.

이번 시간에 분석할 문학 작품은 여러분이 너무나도 좋아하시는(?) 정철의 '사미인곡'입니다. '사미인곡'에 대한 해설과 해석을 시작하겠습니다. 수험생들이 고전 시가 중에 어려워하는 작품 삼대장 중에 하나이지요. 최고는 '관동별곡', 그다음으로 '사미인곡', '속미인곡'입니다. 따져 보니 다 정철의 작품이네요. ^^

 

작품 속 화자를 여성적 화자로 설정한 이유

'사미인곡'의 의미는 미인을 생각하는 노래라는 의미입니다. 이 작품은 여성적 화자를 설정하여 임에 대한 절절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작품에서 화자는 작품의 분위기와 주제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남성적 화자와 여성적 화자는 주로 말투로 결정이 되는데, 남성적 화자는 주로 반말과 명령적 어투를 통해서, 여성적 화자는 존댓말인 경어체와 부드러운 말투로 표현이 되지요. 우리가 생각하는 사회적 관습에 따라 남성적 어조는 의지적이고 비판적이며 저항적인 내용에 주로 쓰이게 되며, 여성적 어조는 자신의 정서를 절실하게 표현을 하고, 상대방의 절대성을 드러내는데 주로 쓰이게 됩니다. 즉, 화자를 어떤 존재로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작품의 분위기가 바뀌고, 작품의 주제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것 내신 시험에서도 중요하게 다루는 화자를 설정하는 효과가 됩니다.

 

사미인곡에서 실제 작가(정철)가 수염 난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적 화자를 설정한 것은 자신의 정서를 절실하게 표현하는 것이 수월하고, 화자가 그리워하는 임이라는 대상이 절대적인 존재, 즉 매우 중요하고 대단한 존재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죠.

막말로 작가인 정철은 임금에 대한 자신의 변함없는 사랑과 충성심을 드러내려고 이 작품을 썼는데 화자를 남성적 화자로 설정을 하면 임금이 받아들일 때 역효과가 나지 않겠어요? 같은 남자니까요. ^^; 

따라서 정철의 사미인곡은 여성적 화자가 사랑하는 연인인 '임'을 그리워하는 인류 보편적인 형식을 통해서 임금에 대한 사랑과 충성심, 즉 연군지정을 노래한 충신연주지사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러한 방식은 정철의 작품뿐만이 아니라 매우 많은 작품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진짜 마음이 그렇든 겉으로 보여주기 식이든 여하튼 문학 작품을 그렇게 써야 했던 때니까요. 양반 문학의 전통적 방식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철, 사미인곡 핵심 정리

갈래: 양반 가사, 서정 가사, 정격 가사

 

정격 가사는 시조의 종장 형식을 가사 마지막에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평시조의 일반적인 종장 형태는 '3.5.4.3'입니다.

종장인 3번째 행의 한 음보당 글자 수가 3글자, 5글자, 4글자, 3글자가 된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시조 종장의 일반적인 글자 수인 3.5.4.3을 지키면 정격 가사, 안 지키면 변격 가사라고 합니다.

사미인곡은 정격 가사이지요.

 

성격: 충신연주지사, 서정적, 여성적, 의지적

주제: 연군의 정(임금을 향한 그리움)

시상 전개 방식: 사계절의 변화에 따른 전개

 

사미인곡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시상을 전개했습니다.

봄에는 어떤 일이 있고, 어떤 정서가 있었는지 해서 겨울까지 순차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속미인곡은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속미인곡과의 차이점 때문이라도 중요합니다.

 

특징:

1. 비유와 상징으로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냄.

2. 뛰어난 우리말 구사.

 

가끔 학생들이 뛰어난 우리말 구사가 무슨 의미냐고 물어보는데요.

쉽게 말씀드리면 한자어를 적게 쓰고 순우리말을 많이 썼다는 의미입니다.

 

3. 사상적 배경: 유교(충성), 불교(인연), 도교(옥황상제)

4. 충신연주지사의 대표적 작품.

5.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백미.

가사 문학의 최고는 속미인곡으로 꼽힙니다.

 

의의:

1. 속미인곡과 함께 가사 문학의 절정을 이룬 작품으로 평가됨.

2. 정과정의 맥을 이은 충신연주시사.

고려가요인 정서의 '정과정'은 충신연주지사의 시작이라고 평가받는 작품이고, 이러한 전통을 사미인곡이 계승했다는 의미입니다.

 

정철, 사미인곡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

 

정철_사미인곡_해설_1
정철, 사미인곡 해설_1

 

정철_사미인곡_해설_2
정철, 사미인곡 해설_2

 

정철_사미인곡_해설_3
정철, 사미인곡 해설_3

 

정철_사미인곡_해설_4
정철, 사미인곡 해설_4

 

정철_사미인곡_해설_5
정철, 사미인곡 해설_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