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도전, 신도가 해설 해석

반응형

오늘 분석할 작품은 조선의 태평성대와 조선 건립의 당위서을 드러낸 궁중 음악 가사안 정도전의 신도전을 설명들리겠습니다.

정도가, 신도가 해설 해석

오늘 분석할 문학 작품은 정도전의 '신도가'입니다. 이 작품의 작가인 정도전은 조선 건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조선이라는 국가의 기반을 설립했던 사람이지요. 그러한 위치에 맞게 이 작품은 조선의 새로운 도읍인 한양을 예찬하고, 태조 이성계의 덕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갈래는 악장인데 궁중 음악에 쓰이는

일종의 노래 가사지요. 악장 작품은 주로 조선 건립의 당위성, 조선이라는 나라와 왕들에 대한 예찬, 국가 발전을 기원 등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갈래를 만들어서 작품을 만든 이유는 조선 왕조 초기에 백성들에게 조선 건국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였지요. 조선은 고려를 멸망시키고 역성 혁명을 이루었기 때문에 사실 반발하는 세력들이  많았거든요.

이러한 악장이라는 갈래의 수명을 길지 못합니다. 어찌 보면 당연하지요. 우선 조선이 초기를 넘어가면서 안정기에 들어왔으니, 필요성이 점차 약해지기도 했고, 궁중 음악이다 보니 아무래도 향유 계층이 적고 또 너무나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으니, 문학적 아름다움이나 재미가 적었던 것이지요.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입시 문학 해설, 무릉도원 : 네이버 카페

안녕하세요?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입니다. 국어 중, 고등 수업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핵심 정리

갈래: 악장

성격: 송축가, 기원적, 예찬적

주제: 새로운 도읍과 태조의 성덕 예찬

이해: 조선 개국하고 수도를 옮긴 뒤, 새로운 수도가 된 한양의 형세를 예찬하고 태조의 덕이 무한함을 찬양

표현: 고려가요와 유사한 3음보, 여음구 있음

 

특징: 조선을 건국하고 새 도읍을 정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작가의 긍지가 드러남

조선 건국에 대한 긍지와 낙관적 전망이 예찬적 어조로 표현

조선 왕조 창업기에 민심을 수습하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성을 띰

→ 악장이 문학적으로 정착하지 못한 이유가 됨

 

정도전-신도가-해설
정도전, 신도가 해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