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능특강 잡가 제비가 해석과 해설 및 설명
2025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잡가 작품인 '제비가'에 대한 해석과 해설 및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경기 12 잡가 중의 한 작품으로 이 작품의 갈래인 '잡가'는 아주 쉽게 말씀드려 여러 가지 인기가 있을 만한 것들을 섞어서 만든 노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시의 시장과 같이 사람이 많은 곳에서 전문적인 소리꾼이 노래를 하기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통속적이고 청중들이 좋아할 만한 요소들을 많이 집어넣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2년 EBS 수능특강에는 '소춘향가'가 수록되었고, 2023년 수능특강에는 유산가가 수록되었지요. 잡가는 한자어와 생소한 말이 많이 쓰이고, 이것저것을 섞어서 유기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이해하기 좀 어려울 수 있는데, 세부적인 한자어에 신경을 쓰기보다는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용 자체는 어렵지 않거든요.
그럼 본격적으로 '제비가'를 살펴보도록 하지요. 제비가는 '춘향가' + '흥부가' + '새타령' + '춘향가' + '새타령' + '흥부가'의 대목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노래입니다. 다른 노래들의 일부 대목들을 가져와서 합친 것이지요. 따라서 내용도 따로 놀고 주제도 애매합니다. 즉, 작품의 유기성과 통일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지요. 작품의 주체도 '이 도령', '놀부', '춘향'으로 분산되어 있지요. 하지만 작품에 등장하는 주체들의 정서를 살펴보면 공통점이 있는데, 이 주체들이 어떠한 욕망을 추구하는데, 그것이 좌절된다는 것입니다. 이 도령은 유희를 추구하나 실패하고, 놀부는 제비를 잡으려 하나 잡지 못하고, 춘향은 이 도령이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나 오지 않지요. 이 작품의 표면적 주제는 '다양한 새들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고, 좀 더 깊이 보면 '욕망 추구와 좌절'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HWP)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문학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연회원제 카페로 지난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자료부터 현재의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에 수록된 모든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문제는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력이 되지 않아서요.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 개별 해설 자료를 구매하실 분은 카카오 오픈 채팅으로 요청하시면 됩니다. 단 자료 구매와 관련된 내용만 상담을 진행합니다. 카톡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늦은 밤, 새벽, 아침을 가리지 않고 심지어 제 자료와는 관련도 없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셔서 저도 사람인지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https://open.kakao.com/o/szzBHFld
제비가 지문
만첩산중(萬疊山中) 늙은 범 살진 암캐를 물어다 놓고 에 - 어르고 노닌다
광풍(狂風)의 낙엽처럼 벽허(碧虛) 둥둥 떠나간다
일락서산(日落西山) 해는 뚝 떨어져 월출동령(月出東嶺)에 달이 솟네
만리장천(萬里長天)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복희씨(伏義氏) 맺은 그물을 두루쳐 메고서 나간다
망탕산으로 나간다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저 제비 네 어디로 달아나노
백운(白雲)을 박차며 흑운(黑雲)을 무릅쓰고 반공중(牛空中)에 높이 떠
우이여 - 어허어 어이고 달아를 나느냐
내 집으로 훨훨 다 오너라
양류상(楊柳上)에 앉은 꾀꼬리 제비만 여겨 후린다
아하 이에이 에헤이 에헤야 네 어디로 행하느냐
공산야월(空山夜月) 달 밝은데 슬픈 소래 두견성(杜鵑聲)
슬픈 소래 두견제(杜鵑啼) 월도천심(月到天心) 야삼경(夜三更)에
그 어느 낭군이 날 찾아오리
올림비조(鬱林飛鳥) 못 새들은 농춘화답(弄春和答) 에 짝을 지어
쌍거쌍래(雙去雙來) 날아든다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 두루미
문채(紋彩) 좋은 공작 공기 적다 공기 뚜루루루루룩
숙궁 접동 스르라니 호반새 날아든다
기러기 훨훨 방울새 떨렁 다 날아들고
제비만 다 어디로 달아나노
※ 벽허: 푸른 하늘. ※울림비조: 울창한 숲에서 나는 새 수 농춘화답: 봄을 희롱하며 서로 지저귀는.
제비가 현대어 풀이
겹겹이 둘러싸인 깊은 산속의 늙은 범이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예- 어르고 노닌다. /
거센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처럼 푸른 하늘에 둥둥 떠나간다. /
해가 서산으로 뚝 떨어져 달이 동쪽 고개로 솟네. / 아득히 높고 먼 하늘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
제비를 쫓으러 나간다. 제비를 쫓으러 나간다. / 복희씨가 만든 그물을 둘러메고 나간다. /
망탕산으로 나간다. 우이여- 어허어 / 어이고, 저 제비 네 어디로 달아나느냐? /
흰 구름을 박차며 검은 구름을 무릅쓰고 허공에 높이 떠 / 우이여- 어허어 어허어, 달아나느냐? /
내 집으로 훨훨 다 오너라. / 버드나무 위에 앉은 꾀꼬리를 제비처럼 여겨 쫓는다. /
아하 이에이 에헤이 에헤야 너 어디로 가느냐? / 빈산에 달이 밝은데 슬픈 소리는 두견새의 울음소리요. /
슬픈 소리로 두견새가 울고, 달이 하늘 한가운데 있는 밤 깊은 때에 / 그 어느 낭군이 나를 찾아올까? /
울창한 숲에서 나는 여러 새들은 봄의 정취에 겨워 서로 노래로 답하며 짝을 지어 /
쌍쌍이 오고 가며 날아든다. /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두루 미). /
날개 무늬와 빛깔이 좋은 공작, 공기 적다. 공기 뚜루루루루룩 / 두견새. 호반새가 울면서 날아든다. /
기러기 훨훨 날고 방울새도 떨렁 다 날아들고 / 제비만 다 어디로 달아나느냐?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경기 잡가
성격: 감상적
주제: 다양한 새들의 다채로운 모습과 정경
특징:
1. 여러 노래의 가사 중 일부분이 모여 하나의 노래로 이루어져 있음.(춘향가, 흥부가, 새타령)
2. 의문형 어미와 평서형 어미를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운율을 형성함.
3. 음성 상징어 및 여음구를 활용하여 시적 상황을 표현함.
4. 온갖 종류의 새를 열거하여 각각의 특징을 잘 보여 줌.
5.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라는 동일한 시구를 한 행에 반복하여 행동을 강조하고 운율 형성함.
구성:
· 1행: 늙은 범이 암캐를 물고 노닒.
· 2~4행: 하늘에 기러기가 울고 감.
· 5~12행: 제비를 후리러 나가자 제비가 달아남.
· 13~22행: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과 여러 가지 새들의 다양한 모습.
해제
이 작품은 경기 12 잡가 중의 하나로 새를 제재로 삼아, 다양한 새의 모습을 감각적이며 흥미롭게 묘사한 노래이다. 사설은 판소리 「춘향가」의 「사랑가」, 판소리 「흥부가」, 남도 잡가인 「새타령」에서 구절들을 빌려 와 재치 있게 연결하여 꾸며 놓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내용적 유기성이 떨어져 보이지만, 비유기성 속에서도 나름의 내적 논리를 찾을 수는 있는데, 이 역시 잡가의 한 특징이다. 「제비가」는 다른 잡가와 비교할 때 당시 대중 사이에서 인기가 매우 높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잡가의 정의와 특징
· 정의: 가곡, 가사, 시조 등 지식층이 즐기던 노래에 대하여, 대중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좁게는 사당패나 광대 같은 소리꾼이 부르는 노래들이고, 넓게는 각 지방 민요까지 포함한다.
· 특징: 잡가는 가사, 판소리, 시조, 민요 등 기존의 시가 갈래 작품들에서 노랫말을 차용한 경우가 많았다. 왜냐하면 도시의 시정 노래판에서 연행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유행가의 성격이 강하였으므로 노래판에서 관중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내용이면 무엇이든 잡가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잡가에는 당시 노래에서 자주 사용되던 상투적인 표현이나 고사성어, 한자 어구 등이 빈번히 나타나며, 이는 잡가의 주요한 특징이다.
* 해설 이미지의 음영과 나머지 자료는 무릉도원 정회원이 되시면 볼 수 있습니다.
'고전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이니~ 해석 해설 설명 (1) | 2024.03.20 |
---|---|
경기체가 오륜가 해석 해설 설명 (1) | 2024.03.19 |
가사 채득기 봉산곡 해석 해설 설명 (1) | 2024.03.07 |
2025년 수능특강 이달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 해석 해설 설명 (3) | 2024.02.28 |
2025년 수능특강 시조 조존성 호아곡 해석 해설 설명 (2)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