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운문

수능특강, 이옥봉_자술 해설 해석 분석

반응형

이번 시간에 분석할 문학 작품은 이옥봉의 '자술(自述)'입니다.

이옥봉의 자술, 임에 대한 간절한 고백

올해 EBS 수능특강에 수록된 작품입니다.

제목인 '자술(自述)'은 '스스로의 마음을 표현하다'는 의미입니다.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여성적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절절하게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지요.

특히 '꿈'을 통해서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과 임을 보고 싶은 소망을 탁월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술의 인상 깊은 내용을 좀 살펴보면, '꿈속 넋 만약에 자취 있다면'이라는 표현은 '만약 ~이라면'의 가정법을

사용해서 화자의 강한 소망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문 앞 돌길 모래로 변하였으리.'

이 구절은 어떤 의미일까요?

돌길이 모래로 변할 만큼 꿈에서 임을 많이 찾아갔다는 의미가 될 것입니다.

그만큼 꿈에서 임을 많이 만났고, 이것은 그만큼 임을 간절히 그리워한다는 의미가 되겠지요.

저만 이 작품이 탁월하게 화자의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 것은 아닌가 봅니다.

그 시절의 사람들도 이 작품이 인상 깊었던 것 같습니다.

이 작품과 비슷한 스타일의 작품도 다수 존재하고, 소설이나 잡가 등에서도 인용되어 사용되었습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munbunseon.tistory.com/124

 

2022년 EBS 수능특강 수능완성 문학 편집 가능 해설 자료 이용 안내, 입시 문학 해설 카페 무릉도원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2022년 EBS 수능특강 수능완성 문학 편집 가능 해설 자료 이용 안내 이번 시간에는 2022년도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 이용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

munbunseon.tistory.com

 

이옥봉, 자술 핵심 정리

갈래: 한시(7언 절구)

성격: 애상적, 과장적

주제: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사랑하는 임을 만나지 못하는 여인의 한과 그리움

 

특징:

1. 가정법과 과장법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2. 문답의 형식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구성:

기: 근래의 임의 안부를 물어봄.

승: 달 뜨는 밤,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토로함.

전: 꿈속에서도 임을 찾아다니는 간절한 마음을 밝힘.

결: 꿈속의 문 앞 돌길이 모래가 될 정도로 임을 그리워하고 있음을 밝힘.

 

이옥봉, 자술 원문

近來安否問何如 (근래안부문하여)

月到紗窓妾恨多 (월도사창첩한다)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門前石路便成沙 (문전석로편성사)

 

이옥봉, 자술 해제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시인 이옥봉이 지은 한시로, 칠언절구에 해당한다.

‘첩(妾)으로 드러나는 여성 화자의 진솔한 목소리를 활용해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임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다.

임의 안부를 솔직하게 물은 후, 꿈속에서라도 만나고 싶은 간절함을 과장법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https://link.coupang.com/a/GJLZE

 

제이비엘 클럽 950 노이즈 캔슬링 블루투스 헤드셋 + 하드케이스 + Aux in 케이블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옥봉, 자술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

 

이옥봉-자술-해설
이옥봉, 자술 해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