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능특강 양태사, 야청도의성 해설

반응형

오늘 설명할 작품은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양태사의 '야청도의성'입니다. 한시인 이 작품은 고국인 발해를 떠나 멀리 타국인 일본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다가, 일본에는 없는 풍습인 다듬이 소리를 듣고 반가운 마음과 함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또한 밤에 잠을 못 이루고 다듬이질을 하고 있는 여인의 마음이 어떤 것일까 상상을 하며 그 여인도 어떤 아픔이 있는 것으로 생각을 하며 동병상련을 느끼게 됩니다.

정리하면, 이 작품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 즉, 향수에 대한 마음을 절절하게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정과 편집이 가능한 문서 파일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양태사, 야청도의성 핵심 정리

갈래: 한시(7언 배율)

성격: 감상적, 애상적

주제: 고국을 그리워하는 나그네의 향수.

 

특징:

1. 다듬이질 소리를 통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

2. 계절적 배경을 나타내는 시어를 사용.

3.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 활용.

 

구성:

1~2행: 타국에서 느끼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3~8행: 우연히 다듬이질 소리를 듣게 됨.

9~16행: 다듬이질을 하는 여인에 대한 화자의 상상.

17~24행: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움.

 

양태사, 야청도의성 해제

이 작품은 발해의 사신으로 일본에 간 작가가 타국에서 우연히 들은 다듬이질 소리를 제재로 하여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한시이다. 작가인 양태사는 발해의 무인으로, 부사(副使)의 자격으로 일본에 갔다가 송별연에서 일본 문인들의 시에 화답하는 시를 두 편 남겼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야청도의성」이다. 타국에 머물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수심에 잠겨 있던 화자는 다듬이질 소리를 들으며 상념에 빠지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 간절히 느끼게 된다. 일본에서 편찬한 '경국집(經國集)'이라는 시집에 수록되어 전해진다.

 

양태사-야청도의성-해설-1
양태사 야청도의성 해설_1

 

양태사-야청도의성-해설-2
양태사 야청도의성 해설_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