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석 국수 해설 해석

반응형

백석 시인의 '국수'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인 '국수'는 우리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친근한 음식입니다. 즉, 이 작품에서 '국수'는 소박하지만 친근하면서 반가운 존재를 의미하는 소재로 정겨웠던 고향 마을에서의 유대감과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떠오르게 하는 소재입니다. 그럼 이 내용을 바탕으로 백석 시인의 국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석의 국수, 서민적이면서도 잔칫날 먹는 공동체적인 음식

그럼 본격적으로 백석의 '국수'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요즘은 이런 문화가 좀 생소할 수 있지만 원래 국수는 잔칫날 많이 먹었습니다.

특히 사람들 간에 '국수 언제 먹게 해 줄 거야?'라는 말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결혼 언제 할 것이냐는 의미로 결혼식날과 같은 잔치에 국수를 먹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따라서 국수는 기쁜 날 가까운 사람들과 만나서 함께 먹고, 유대감을 나누는 음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 작품의 내용을 하나 씩 살펴보며 알아보도록 하죠.

우선 이 작품을 대충 훑어보면 시라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백석의 많은 작품들이 그런데요.

이렇게 산문적인 느낌이 강한 것을 산문적 어조라고 합니다.

그러나 유사한 문장 구조의 반복이나 비슷한 소재를 열거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도 잊으면 안 됩니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겨울이고 산새와 토끼가 겨울을 지내는 모습을 표현하며 평화로운 고향의 정경을 묘사합니다.

그리고 화자는 '그 무슨 반가운 것'이 온다며 좋아하죠.

그럼 이 '그 무슨 반가운 것'은 무엇일까요?

맞습니다. 여러분들이 짐작하신 대로 국수입니다.

비록 가난했던 시절이지만 평화로웠던 농촌의 고향 마을에서 먹었던 국수에 대한 추억을 화자는 말하고 있죠.

이 작품을 보면 방언과 더불어 향토적인 소재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토속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또 고향의 정감 어리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잘 살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백석 시인의 작품들의 주요 특징 중에 하나이지요.

그리고 화자는 이 국수라는 음식이 아주 옛날부터 우리 민족과 함께 했던 음식이며, 우리 정서에 맞는 전통 음식이라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또 이렇게 계속해서 국수를 즐겨 먹는 것을 통해서 마을 사람들의 삶이 오랜 세월 동안 늘 한결같음을 표현하기도 하지요.

그리고 옛날부터 먹어 왔던 국수는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우리 민족적 정신세계도 담고 있다고 화자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설명을 드린 부분이 작품의 1연 내용이지요.

운율 형성의 관점에서 1연을 살펴보면, '~에'라는 조사를 반복하고 또 '~앞에'를 반복하여 유사한 문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운율을 형성하고 서로 간에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죠.

2연의 내용을 살펴보면,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연에서도 비슷한 말이 나왔었죠.

이렇게 질문을 반복하여 국수에 담긴 정신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반복을 통해서 운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고요.

그 뒤에 국수에 더해서 먹는 음식들과 그에 따른 냄새를 열거하여 구수하고 정감 있는 농촌 공동체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또 후각적 심상과 촉각점 심상을 많이 활용했으니 감각적 이미지가 두드러진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소재들이 열거되었으니 운율 형성과 의미 강조도 하고 있고요.

3연에서는 이러한 국수의 꾸밈없이 담담하고 소박하며 선량한 특징을 말하며 이 국수를 좋아하는 우리 민족이 국수를 좋아하고 친한 이유가 우리 민족이 순박한 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미의 말을 하며 작품을 마무리합니다.

백석의 국수의 특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앞서 설명을 드린 대로 사투리와 향토적 소재를 통해서 토속적인 정감을 불러일으키고 전통적인 농촌 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또 다양한 감각적 심상을 활용하여 정겨운 농촌 공동체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있죠.

 

백석, 국수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향토적, 토속적

제재: 국수

주제: 정겨운 고향에 대한 추억.

 

특징:

1. 향토적 언어의 사용으로 토속적 정감을 불러일으킴.

2. 농촌 공동체의 모습을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로 형상화.

3. 산문적 어조이나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으로 운율을 형성함.

 

구성:

1연: 농촌 공동체와 관련된 국수.

2연: 국수의 맛과 빛깔과 냄새에 대한 기억.

3연: 국수에 깃든 우리 민족의 정신적 가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