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희의 상한 영혼을 위하여 해설
고정희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상한 영혼을 위하여'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20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되었습니다. 제목을 보면 이 작품의 내용이 어떠한 것일지 대략적으로 짐작이 가는데요. '상한 영혼'이라는 것은 '상처받은 존재'가 되겠지요. 이렇게 힘들어하는 존재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려는 작품일 것입니다.
그럼 내용을 보면서 이 작품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연에서는 시련 속에서도 '뿌리'라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고 새로운 생명력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을 힘들게 하는 고통을 피하려 할 것이 아니라 '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라는 청유형의 문장을 통해서 고통을 직시하고 수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지요. 작품 속의 이러한 내용은 고통이 좋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당연히 그런 의미가 아니지요.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 고통이 좋은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고통 속에서 우리는 성장하고 깨달음을 얻지요. 화자는 어차피 피할 수 없는 고통이라면 그것을 정면으로 받아들여 성장하라는 메시지를 우리에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지요.
2연에서도 1연과 마찬가지로 고통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며 살아가자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기본적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존재들이 '부평초'와 같이 힘들게 살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기반에 깔아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통과 시련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살아가다 보면 '개울'과 '등불'과 같은 희망이 있다는 말을 하고 있지요. 또 외롭기로 작정하고 가기로 목숨을 걸면 못 할 것이 무엇이겠냐는 말을 통해서 우리에게 희망과 의지를 북돋아 주는 말을 하고 있지요.
3연에서는 세상살이가 힘들지만 '영원한 눈물과 비탄은 없느니라'라는 말을 통해서 언젠가 시련이 끝날 것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힘겨운 삶의 길에서도 고통을 함께 이겨나갈 존재인 '마주 잡을 손'이 오고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작품을 마무리합니다.
고정희의 상한 영혼을 위하여의 주제는 시련과 고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시련과 고난을 피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살다 보면 힘겨운 일은 필연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으니까요. 어차피 겪을 것을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주체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성숙해지는 계기로 삼자는 것이지요.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
2023년 연회원권 구매 안내 이용료 안내 1년 이용료 7만원 2022년 이용권 기간(2023년 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서비스: EBS 수능특강(문학) 해설...
cafe.naver.com
특징 및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의지적, 긍정적
주제: 고통을 수용하는 성숙한 삶의 자세와 의지.
특징:
1. 자연물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를 형상화.
2. 청유형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의지와 설득적인 의도를 보임.
3. 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화자의 태도를 강조함.
4. 고통을 수용할 때 오히려 고통을 극복할 수 있다는 역설적 인식이 드러남.
6.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서 운율 형성 및 주제를 형상화.
구성:
1연: 시련 속에서도 고통을 직시하고 대면하려는 의지.
2연: 고통을 수용하고 포용하겠다는 각오.
3연: 고통을 초월하는 성숙한 삶의 자세 촉구.
해제
이 시는 밑둥 잘리어도 새순이 돋는 ‘상한 갈대’, 뿌리 없이 떠돌면서도 질긴 생명력을 보이는 ‘부평초 잎’을 통해 고통과 시련을 외면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의연하게 맞서는 삶의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화자는 청유형 어미를 활용하여 ‘상한 영혼을’ 가진 고통스러운 존재들에게 시련과 고통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요청하고 있다.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세영 너의 목소리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0) | 2023.10.15 |
---|---|
곽재구 은행나무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1) | 2023.10.14 |
오세영 등산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0) | 2023.10.04 |
이형기 나무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1) | 2023.10.04 |
정호승 이별 노래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1)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