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39)
김광균 데생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김광균 현대시 데생 해설김광균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데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데생'은 '소묘'라고도 부르며 형태와 명암을 중심으로 단색으로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 시적 배경인 노을이 지는 황혼 무렵의 풍경을 감각적으로 묘사했음을 제목에 담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화자는 황혼을 보며 어떤 정서를 느꼈는지 알아보도록 하지요.노을이 진 아름다운 하늘을 작품 속에서는 '향료를 뿌린 듯 곱-다란 노을'이라는 표현을 활용하여 드러내고 있습니다. 노을은 시각으로 봐야 하지요. 향료는 후각으로 느껴야 하고요. 시각과 후각이 함께 쓰였으니 공감각적 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각적 감각이 후각으로 전이가 되었으니 감각의 전이 또는 시각의 후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윽고 시간이 흘러 밤이 되고 별이 뜨기..
곽재구 전장포 아리랑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곽재구의 현대시 '전장포 아리랑' 해설 곽재구 시인의 '전장포 아리랑'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전장포'는 실제 존재하는 곳으로 전남 신안군에 있는 항구 이름입니다. 이 작품은 실재 지명을 배경으로 삼아 사실성을 부여하고 있지요. 전당포 앞바다의 풍경을 보고 있는 화자는 눈물방울이 많다는 표현을 합니다. 이는 전장포 앞바다의 작은 섬들에 대한 비유이자, 우리 민족이 겪었던 슬픔들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지요. 또한 섬들이 반짝이는 모습을 우리나라의 눈물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삶의 고통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지요. 하지만 화자는 눈물과 시련과 힘겨움만을 본 것은 아닙니다. '자그맣고 슬픈 우리나라 사랑들도 보지요.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랑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그 사랑은 그리 대..
김연수 리기다소나무 숲에 갔다가 특징 줄거리 해제 해설 김연수 작가의 현대 소설이자 단편 소설인 '리기다소나무 숲에 갔다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20학년도 3월 고1 모의고사에 출제된 작품이지요. '리기다소나무'는 저도 이 작품을 분석하면서 처음 알았는데 소나무의 한 종류로 강인한 생명력을 지녀서 척박한 땅에도 잘 자라지만 목재로써는 가치가 별로 좋지 않은 나무라고 합니다. 김연수의 현대 소설 '리기다소나무 숲에 갔다가' 해설 그럼 본격적으로 김연수의 '리기다소나무 숲에 갔다가'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앞서 설명을 드린 대로 이 '리기다소나무'는 작품의 주제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리기다소나무는 인간에게는 그 효용이 떨어지지요. 중요하지 않은 자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인간의 생각이지 리기다소나무는 살아 있는 그 자..
한승원 버들댁 소설 특징 줄거리 해설 한승원의 현대 소설 버들댁 해설 이번 시간에는 한승원 작가의 현대 소설 '버들댁'을 해설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할머니인 '버들댁'이 손자에게 베푸는 조건 없는 사랑과 엇나가기만 하는 철없는 손자인 용복을 통해서 늙은 세대에 관심이 없는 젊은 세대에 대한 비판도 은근하게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버들댁은 아들의 부양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손자인 용복을 부양하고 있습니다. 노쇠한 버들댁은 당연히 경제적 능력도 없지요. 지원금으로 근근이 먹고사는데 그것도 용복에게 다 주고 있지요.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 줄 안다고 용복은 그 돈을 당연하게 다 뺏어가고 나중에는 사고를 쳐서 삼백만 원을 버들댁에게 달라고 하고, 버들댁은 돈을 빌리지 못하고 끝내 집을 팔아 용복에게 삼백만 원을 줍니다. 그리고 용복은 그 ..
이성복 당신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이성복의 '당신' 해설이성복 시인의 현대시 '당신'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이 작품은 '당신'이라는 청자를 설정하여 말을 건네는 것과 같은 구성을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개를 통해서 친근감을 부여하고 독자와의 공감대에 유리하도록 작품을 구성하는 것이지요.작품 속 '당신'은 어떤 특정 인물이라기보다는 치열하고 힘겹게 살아가는 노동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연에서는 얼어붙은 땅을 파고 무씨를 갈고 있는 아낙네들, 그것도 어린아이들을 업은 상태에서 힘겨운 노동을 하고 있습니다.2연에서는 화자는 뻘밭에서 연뿌리를 캐고 있는 사람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물이 마르지 않은 뻘밭에서 힘겹게 흙투성이 연뿌리를 캐고 있는 '당신'을 만나지요.3연에서는 이렇게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
오세영 너의 목소리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오세영의 너의 목소리 해설 오세영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너의 목소리'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너무나 애절하고 애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작품은 청각적 이미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제목도 '너의 목소리'이지요. 화자는 그리워하는 '너'에 대한 꿈을 꿉니다. 그리고 밖에서 '발자국 소리', '소매깃 소리'가 들리는 듯한 느낌이 들지요. 청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너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을 부각하고, '~소리'라는 명사형 종결을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하며 여운을 형성하고 있지요. 또 시상을 집중시키는 효과도 있고요. 이러한 소리에 화자는 '너'가 왔다는 생각을 합니다. '누런 해 지지 않는 서역 땅에서' 말이지요. 원래 관습적으로 문학 작품에서 서역은 저승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박완서 꽃 출석부 1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이번 시간에는 소설가로 유명한 박완서 작가가 쓴 수필 작품인 '꽃 출석부 1'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20학년도 3월 모의고사에 출제된 작품이지요. 박완서의 꽃 출석부 1 해설그럼 본격적으로 박완서의 '꽃 출석부 1'에 대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이 작품의 갈래는 수필입니다. 수필은 글쓴이가 일상생활에서 겪은 일을 솔직하게 쓴 글을 의미합니다. 즉 박완서 작가가 체험한 일과 이를 바탕으로 느낀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 글이지요. 이 작품의 제목은 '꽃 출석부'인데 그 이유는 서술자인 '나'의 마당에는 100가지가 넘는 꽃들이 있고, 이 꽃들이 자연의 섭리에 맞춰 순서대로 피는 것이 꼭 출석부대로 피어나는 것과 같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신경을 쓰든 쓰지 않든 꽃이 피는 것은 자연의 섭리이..
곽재구 은행나무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곽재구의 은행나무 해설 곽재구 시인의 '은행나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화자가 은행나무를 보며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미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있지요. 작품 속에서 '너'라고 불리는 존재는 은행나무로 아름다운 존재이며, 무수한 사람들의 추억이 담긴 존재입니다. 또한 '수천만 황인족의 얼굴 같은'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은행잎을 우리 민족에 비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나무는 우리 조국, 또는 우리 삶의 근거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 조국의 미래가 아름다울 것이고 또 아름다워야만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작품이지요. 화자는 이러한 의지를 '아무도 이 거리에서 다시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와 '희망 또한 불타는 형상으로 우리 가슴에 적힐 것이다'와 같은 단정적이..
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특징 핵심 정리 해제 해설 고정희의 상한 영혼을 위하여 해설 고정희 시인의 현대시 작품인 '상한 영혼을 위하여'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작품은 2020년 EBS 수능특강에 수록되었습니다. 제목을 보면 이 작품의 내용이 어떠한 것일지 대략적으로 짐작이 가는데요. '상한 영혼'이라는 것은 '상처받은 존재'가 되겠지요. 이렇게 힘들어하는 존재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려는 작품일 것입니다. 그럼 내용을 보면서 이 작품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연에서는 시련 속에서도 '뿌리'라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고 새로운 생명력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을 힘들게 하는 고통을 피하려 할 것이 아니라 '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라는 청유형의 문장을 통해서 고통을 직시하고 수용해..
이이 낙지가 핵심 정리 해설 이번 시간에는 고전 시가 작품인 이이의 '낙지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사'인 이 작품은 '양반 가사'이자 '은일 가사'로 분류되는 작품입니다. 양반 가사는 양반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양반이 쓴 가사를 말하는 것이고, '은일 가사'는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지내는 삶에 대해 노래한 작품을 의미합니다. 이이의 '낙지가'는 자연 속에서 은거하면서 느끼는 삶의 즐거움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이지요.2025년 수능특강에 수록된 부분에 대한 지문과 해설을 추가하여 글을 보완했습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EBS 수능특강 및 수능완성 해설 자료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603 무릉도원 회원 가입 안내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