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완성, 이신의 사우가 해설 해석
이번 시간에는 EBS 수능완성에
수록된 이신의의 연시조 작품인
'사우가(四友歌)'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작품의 제목이자 중심 소재인
'사우(四友)'는 네가지 벗이라는 의미
이며,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로
4가지 자연물을 의미합니다.
공부를 열심히 한 여러분은 이 작품의
내용이 대략적으로 짐작이 가시지요?
그렇습니다.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이것들의 속성을 말하고
예찬하여, 사람들이 이러한 속성을
배워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는 작품
입니다.
그럼 어떤 속성들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볼까요?
소나무는 풍상, 즉 바람과 서리라는
시련과 고난에도 꺾이지 않고
의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사시사철 푸른빛을 잃어버리지
않지요.
이것을 통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 절개와 지조를 가지고
있는 존재로 형상화되고 있습니다.
국화는 '엄상' 서리가 심한 중에
홀로 피는 꽃이라고 표현합니다.
즉 서리라는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고
꽃을 피워내는 국화의 절개와 지조를
예찬하고 있습니다.
매화도 국화와 비슷합니다.
매화는 겨울과 봄 사이에 아주 추울
때 피는 꽃입니다.
그래서 눈이라는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고 꽃이라는 자신이 뜻하는
바를 이루어 내는 꽃이라고 생각하고
선비들의 모범이라고 생각하며
사랑했던 꽃이지요.
대나무도 꽃과의 대조와 대비를
통해서 절개와 지조를 예찬하고
있습니다.
대나무는 때가 지나면 시드는 꽃과
달리 사시사철 푸르니까요.
변하지 않는 모습을 통해서 절개와
지조를 발견하고 화자는 예찬하고
있습니다.
사실 작품 자체는 해석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어 보입니다.
사실 양반이 쓴 고시조의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유형의 작품이니까요.
고전 작품을 공부를 하실 때는
자연물의 전통적 상징을 꼼꼼하게
공부하셔야 합니다.
표현이 생소해서 그렇지 대부분의
고전 시가가 그 패턴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조금만 익숙해지시면 현대 시보다
더 쉽다고 생각되실 것입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파일 형태의 작품 해설이 필요하신 분은 '국어자신감'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이신의, 사우가 본문
사우가(四友歌)_이신의
<제1수>
바위에 섰는 솔이 늠연(凜然)한 줄 반가온뎌
풍상(風霜)을 겪어도 여위는 줄 전혀 업다
→ 시련에도 변함없는 절개와 지조를 갖은 소나무 예찬
어쩌다 봄빛을 가져 고칠 줄 모르나니
→ 사시사철 변함없이 푸른 소나무 예찬
제1수: 풍상에도 여위지 않는 소나무
<제2수>
동리(東籬)에 심은 국화(菊花) 귀(貴)한 줄을 뉘 아나니
춘광(春光)을 번폐하고 엄상(嚴霜)에 혼자 피니
→ 서리를 맞으며 피어나는 국화의 절개와 지조 예찬
어즈버 청고한 내 벗이 다만 넨가 하노라
제2수: 매서운 서리 속에 홀로 피는 국화
<제3수>
꽃이 무한(無限)호되 매화(梅花)를 심은 뜻은
눈 속에 꽃이 피어 한 빛인 줄 귀하도다
→ 눈 속에서 피어나는 매화의 절개와 지조 예찬
하물며 그윽한 향기(香氣)를 아니 귀(貴)코 어이리
제3수: 눈 속에 피어 그윽한 향기를 풍기는 매화
<제4수>
백설(白雪)이 잦은 날에 대를 보려 창(窓)을 여니
온갖 꽃 간데업고 대숲이 푸르러셰라
→ 꽃과의 대조, 대비를 통해서 대나무의 한결같음을 예찬(절개, 지조)
어째서 청풍(淸風)을 반겨 흔덕흔덕하나니
→ 대나무의 깨끗함
제4수: 백설 속에 푸르른 대나무
이신의, 사우가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정형시, 외형률), 연시조
성격: 예찬적, 자연 친화적, 교훈적
주제: 사우인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의 덕성 예찬
특징: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가치 있는 덕성을 효과적으로 부각함
자연물이 지닌 속성을 통해서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드러냄
설의적, 영탄적 표현을 통해서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구성:
제1수: 풍상에도 여위지 않는 소나무
제2수: 매서운 서리 속에 홀로 피는 국화
제3수: 눈 속에 피어 그윽한 향기를 풍기는 매화
제4수: 백설 속에 푸르른 대나무
이신의, 사우가 해제
이신의의 사우가는 불안정한 정치
상황 속에서 일신의 영달을 위해
지조를 꺾는 속된 선비들과는 달리
시류에 영합하지 않겠다는 화자의
굳은 의지를 사우(四友)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화자는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를
네 벗(사우)으로 칭하며 혹독한 환경
속에서도 변치 않는 속성을 통해
올곧은 선비의 기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신의, 사우가 상세 설명
해설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
'고전 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완성, 충담사 찬기파랑가 해설 해석 (0) | 2021.08.31 |
---|---|
수능특강, 모시를 이리저리 삼아~ 해설 해석 (0) | 2021.08.18 |
계랑, 이화우 흣뿌릴 제 해설 해석 (0) | 2021.06.23 |
수능특강, 님이 오마 하거늘 임이 오마 하거늘 해설 해석 (0) | 2021.06.09 |
이별, 장육당육가 해설 해석 분석 (0) | 2021.05.19 |